메뉴 검색
[기고] 청렴韓 세상 전남동부보훈지청 보훈과 김지은 2018-08-27
이삼식 jnnews@jnnews.co.kr

공무원의 의무 가운데 공직사회에서 가장 많이 오르내리는 단어는 ‘청렴’이 아닌가 싶다.

 

‘부정청탁 및 금품 등 수수 금지에 관한 법률’이 시행되는 등 청렴문화를 정착시키기 위해 현재 모든 공직자들이 노력하고 있지만 최근 청렴 추구에 앞장서야할 사회 지도층과 공직자들의 일부가 부정부패에 관련되는 경우가 있어 안타까울 따름이다.


이러한 사회지도층들의 부정부패는 국민들에게 불신을 안겨주게 되고 결국에는 사회적, 경제적 추가비용을 발생케 해 모든 부문의 경쟁력을 악화시키는 요인이 된다.

 

돈이 권력을 크게 흔들 수 있는 곳에서는 국가의 올바른 정치나 번영을 바랄 수 없다는 토마스 모어의 말처럼 대한민국이 선진 일류 국가로 발돋움하려면 그 어느 때보다도 청렴의 덕목이 필요한 때이다.


청렴이 국가경쟁력과 직결되는 만큼 우리뿐만 아니라 전 세계가 부정부패 척결에 매진하고 있다. 청렴한 사회는 우리나라가 선진 일류국가로 도약하기 위해 반드시 지향해야 할 시대적 과제이며 청렴성 준수는 이제 선택이 아닌 필수조건이 되었다 해도 과언이 아니다.

 

각국에서는 청렴도 향상을 위해 부단한 노력을 하고 있으나 제도적인 장치가 완벽하고 주위의 감시가 엄격하다고 하더라도 공직자 개개인의 부패행위를 방지하기란 쉽지 않다.

 

따라서 공직자 개개인에 대한 지속적인 교육과 각자의 청렴함에 바탕을 둔 올바른 공직자 윤리의식 확립이 무엇보다도 우선되어야 하며, 국민들도 부정과 부패를 통하여 자신들의 개인적인 이익을 도모하고자 하는 생각자체를 버려야한다.


현대인들은 이제 먹고 사는 문제의 해결을 넘어 투명하고 공정한 사회를 만들어 가야한다는 공감대가 형성되어, 청렴은 우리 생활 속에서 지켜야하는 기본 가치로 자리 잡았다.

 

그러나, 국제투명성 기구의 부패인식지수(CPI)를 보면 우리나라의 경우 2016년에는 176개국 가운데 52위에 올랐으며, 올해 2월에 발표된 2017년도 부패인식지수는 180개국 가운에 51위에 올랐다.

 

아직까지는 우리사회가 ‘청렴韓 세상’이라고 말하기는 조금 어려울 수 있을 것 같다. 하지만, 청렴을 위한 법과 사회적인 제도가 조금씩 자리 잡아 공직자 뿐 만아니라 국민 개개인의 의식 속에도 청렴이 깊숙이 자리해 가면서, 구름 한 점 없는 맑은 하늘처럼 ‘깨끗韓 세상’ ‘청렴韓國’이 될 수 있을 것이라 기대한다.  

관련기사

최신 기사

포토뉴스

지역권뉴스

메뉴 닫기

주소를 선택 후 복사하여 사용하세요.

뒤로가기 새로고침 홈으로가기 링크복사 앞으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