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메일전송
국민 70%이상 짜게 먹는다. - 세계보건기구 권고량(2,000㎎)의 2.4배 섭취
  • 기사등록 2013-01-01 14:58:00
기사수정
식품의약품안전청(청장 이희성)은 전국에 거주하는 만 18세 이상 국민 3,223명(남자 1,337명, 여자 1,886명)을 대상으로 ‘짠맛 미각 검사’를 실시한 결과, 우리나라 국민 10명 중 7명 이상은 여전히 짜게 먹고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고 밝혔다.

이번 조사는 지난 2월부터 11월까지 실시한 각종 ‘나트륨 줄이기 캠페인’ 행사와 ‘저나트륨 급식주간’에 참여한 일반인을 대상으로 짠맛 정도를 측정하고 분석한 결과이다.
- 조사는 5단계 농도(0.08, 0.16, 0.31, 0.63, 1.25%)로 조제된 콩나물국 시료를 무작위 순서로 시음하게 한 후 개인별로 느낀 짠맛 강도와 선호도 결과를 미각 컴퓨터 프로그램을 통해 분석하는 방법으로 진행되었다.

※ 판정기준(5단계 농도) : 싱겁게 먹는다(0.08%), 약간 싱겁게 먹는다(0.16%), 보통으로 먹는다(0.31%), 약간 짜게 먹는다(0.63%), 짜게 먹는다(1.25%)
□ 이번 미각 검사결과는 ▲짜게 먹는다 7.7%(249명) ▲약간 짜게 먹는다 27.4%(883명) ▲보통으로 먹는다 40.9%(1,319명) ▲약간 싱겁게 먹는다 16.5%(531명) ▲싱겁게 먹는다 7.5%(241명)로 보통 이상 짜게 먹는 비율이 76%로 나타났다.

‘보통으로 먹는다’에 해당하는 짠맛 정도는 우리 국민 평균 나트륨 섭취량의 중간에 해당하는 수준으로 2011년도 국민 1인 1일 평균 나트륨 섭취량(4,831㎎)이 세계보건기구 권고량(2,000㎎)의 2.4배임을 감안하면 보통 수준도 다른 나라에 비해 상대적으로 짠맛에 해당한다.

세계보건기구(WHO) 나트륨 일일섭취 최대권고량 : 2,000mg이며 2011년도 국민 1인 1일 평균나트륨 섭취량 : 4,831mg(출처: 국민건강영양조사)

또한, 국민들은 나트륨 줄이기 필요성에 대한 인식과 실제 행동양식간의 차이가 큰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번 미각검사 결과 24%가 싱겁게 먹는 것으로 조사된 반면, 소비자 인식도 조사결과는 87%가 나트륨 섭취를 줄여야 한다고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 나트륨에 대한 소비자 조사결과 보고 : ‘11.9.29~10.9(리서치앤리서치/전국 1,500명)

식약청은 이번 조사 결과 나트륨 줄이기는 개인의 노력에만 의존하여야 할 사안이 아니라 소비자와 공급자, 정부가 서로 동참하고 협력해서 해결해야 되는 문제로 나트륨 줄이기 운동의 범국민적 확산이 시급해 보인다고 밝혔다.

내년에는 국민들의 짠입맛 변화정도를 지속적으로 모니터링하여 나트륨 저감화의 필요성을 지방자치단체와 함께 적극 홍보해 나갈 예정이다.

나트륨을 과다 섭취할 경우 나트륨 과다 섭취의 영향을 받는 고혈압, 당뇨병, 심장질환, 뇌혈관질환․ 신장 질환 등을 유발하는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국내 나트륨 섭취량 WHO 권고량의 2.4배~3배(‘10년 국민건강영양조사 결과)에 달한다고 한다.

0
기사수정

다른 곳에 퍼가실 때는 아래 고유 링크 주소를 출처로 사용해주세요.

http://jnnews.co.kr/news/view.php?idx=91347
기자프로필
프로필이미지
  • 김경준 기자
  • 프로필은 기사 하단에 위의 사진과 함께 제공됩니다.

    정론직필[正論直筆]로 언론창달[言論暢達]에 기여하고 국민[國民]들의 알권리에 앞장선다

나도 한마디
※ 로그인 후 의견을 등록하시면, 자신의 의견을 관리하실 수 있습니다. 0/1000
확대이미지 영역
  •  기사 이미지 전남선관위, 목포해상케이블카에서 유권자를 만나다
  •  기사 이미지 보성군, ‘녹차몬’과 함께하는 제48회 보성다향대축제 이모저모
  •  기사 이미지 보성군, 득량만과 맞닿은 일림산 철쭉 만개, 연분홍빛 꽃물결 장관
한국언론사협회 메인 왼쪽 1
모바일 버전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