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메일전송
[기고]빨리빨리 문화와 자식농사 - 시인․수필가 김병연
  • 기사등록 2025-05-15 12:15:01
기사수정

우리는 지금 빠르면 빠를수록 좋다는 속도의 시대를 살고 있다. 대부분의 사람은 자동차, 기차, 비행기 등의 탈것은 모두 빨리 달리는 것을 선택한다. 느리고 기다리는 것은 질색이다. 빨리 가서 해야 할 일이 그리 많아서 그런가. 꼭 그렇지도 않은 것 같다. 목적지에 다다라서 별 볼 일 없이 시간을 허송하는 한이 있어도 한 곳에서 다른 곳까지 가는 시간은 가장 짧아야 한다는 것이 우리의 생각인 것 같다.

  

우리나라 사람들이 많이 찾는 해외(海外) 여행지에서도 어렵지 않게 들을 수 있는 말이 있다. 바로 ‘빨리빨리’라는 말이다. 이는 우리 민족의 특징을 가장 잘 대변하는 단어이기도 하다. 오늘날 우리 사회는 ‘빨리빨리’ 하는 것이 일상에 깊이 뿌리내려 단순한 개인의 행동양식을 넘어 하나의 문화로 자리 잡았다. 외국인이 한국에 와서 제일 먼저 배우는 단어가 빨리빨리이고 한국 사람이 외국에 갔을 때 현지인들이 아는 척하는 단어 중 하나가 빨리빨리이다. 외국에서도 한국 사회의 특징을 대체로 빨리빨리 문화로 이해한다. 빨리빨리 문화는 해방 이후 근대화 과정에서 빨리 가난에서 벗어나 잘살고 싶은 마음에 국민 모두가 조급해지기 시작하면서 생긴 현상이다. 이러한 조급증은 근면성과 결합하여 단기간에 비약적 경제성장을 이룩한 원동력이 되었고, 속도가 경쟁력이 된 지식시대(知識時代)가 되면서 조급증이 힘을 발휘하여 IT강국으로 발돋움한 것도 사실이다. 어쩌면 속도가 생명인 지식시대에 우리의 조급증은 더 심화되고 있는 듯하다.

  

하지만 빨리빨리 문화는 짧은 시간에 성과를 얻을 수 있는 반면 자칫하면 경과를 무시하고 결과만을 중시하는 우(愚)를 범하기 쉽다. 빠른 성과를 위해 의도적으로 반칙을 하거나 필요한 절차와 과정을 생략할 위험성도 있다. 기본과 원칙을 무시하기 쉽고 원칙을 고집하면 융통성이 없다고 비난받기 십상이다. 그러다 보니 빨리빨리 문화가 심화될수록 사회는 편법과 반칙에 무감각해지고 대충대충의 타성에 젖을 수 있다. 그래서 빨리빨리는 곧 대충대충으로 통하기도 한다. 최근까지의 수많은 대형 참사는 모두 기본과 원칙을 무시하고 대충대충 한 결과라는 것은 더 말할 필요가 없다.

 

그러면 빨리빨리 문화가 생기기 전 우리의 모습은 어떠했을까. 변화와 발전이 더디던 시절 한국인의 특징은 은근과 끈기라고 할 수 있다. 은근은 한국인의 아름다움이요, 끈기는 한국인의 힘이었다. 오랜 세월 우리의 조상들은 끊임없는 외세의 침략을 받아가면서 물질적으로 풍족하지 못했고 정신적으로 명랑하지 못했지만 운명으로 알고 은근하게 인내하며 끈기 있게 살아왔다. 마치 무궁화꽃이 화려하지는 않지만 은근하고 끈기 있게 피어나듯 오랜 세월 우리 민족의 생활과 내면에 깔려있던 은근과 끈기는 빠르게 변모하는 지식 시대에 빨리빨리 문화의 위세를 견디지 못하고 사라져버렸다. 사람은 점점 참을성이 없어지고 쉽게 흥분한다. 언어는 예의를 잃고 직설적 표현을 넘어 막말이 일상에 넘치고 있다. 삶은 경쟁 속에서 여유가 없고 변화를 쫓아가기에도 바쁜 나날이다. 하나의 사건이 일어나면 온 나라가 흥분하고 뜨겁게 달궈지다가 또 다른 일이 생기면 모든 관심이 급속히 옮겨간다. 이전 사건에 남아 있을 열정(熱情)과 관심(關心)이 부족하니 당연히 쉽게 식어버린다. 한마디로 사회가 양은냄비와 같다. 인정하고 싶지 않지만 사실이다.

  

이러한 빨리빨리 문화, 대충대충의 관행으로 인한 부작용은 더 이상 방치하거나 용인할 수준을 넘어섰다.

  

성장을 위해 쉬지 않고 빨리빨리 달려왔지만, 이제는 한숨 돌리고 우리 자신을 돌아볼 때다. 기본과 원칙을 중시하는 차분하고 꼼꼼한 자세가 중요하다. 세상에 대하여, 상대방에 대하여 성급한 판단보다는 무슨 사정이 있겠지 하는 이해와 느긋함이 필요하다. 직설적인 언어와 막말을 은근하게 표현할 수 있는 여유를 가져야 한다. 쉽게 달궈지지도 식지도 않는 가마솥 같은 은근과 끈기가 필요하다. 뜸이 잘 들어야 맛 좋은 밥이 되듯이 펄펄 끓이는 성장(成長)의 시간 이후에 뜸을 들이는 성숙(成熟)의 시간이 필요하다.

  

농사(農事)는 금년에 잘못 지었으면 내년에 얼마든지 복구가 가능하지만, 자식농사(子息農事)는 한 번 잘못 지으면 영원히 복구가 어렵다. 자식의 잘못됨은 부모의 몫으로 남게 되고 죽을 때까지 후회한다.

  

가을에 풍성한 곡식을 수확하는 기쁨은 잠깐이지만, 풍년 든 자식농사의 기쁨은 영원한 것이다.

  

자식 대학 졸업시켜 의사나 판검사가 된다면 말할 것도 없이 좋겠지만 그렇지 못할 경우, 대기업에 취업하면 최선이고, 사무관(5급 공무원)으로 취업하거나 교사로 취업하거나 중견기업에 취업하면 차선이며, 9급 공무원으로 취업하거나 순경으로 취업해도 선망의 대상이다.

 

■ 참고 사항

1. 대통령 연봉(2025년) : 2억6천258만1천원

2. 의사 연봉(2022년, 전공의 제외) : 3억100만원

3. 의사 연봉(2025년 전문의) : 4억원 이상(추정액)

4. 판사 월급(기본급, 1호봉, 2025년) : 3,536,500원

5. 검사 월급(기본급, 1호봉, 2025년) : 3,536,500원

6. 사무관(5급 공무원) 월급(기본급, 1호봉, 2025년) : 2,799천원

7. 교사 월급(기본급, 9호봉(일반직 공무원 1호봉), 2025년) : 2,366천원

8. 주사(6급 공무원) 월급(기본급, 1호봉, 2025년) : 2,309천원

0
기사수정

다른 곳에 퍼가실 때는 아래 고유 링크 주소를 출처로 사용해주세요.

http://jnnews.co.kr/news/view.php?idx=404849
기자프로필
프로필이미지
나도 한마디
※ 로그인 후 의견을 등록하시면, 자신의 의견을 관리하실 수 있습니다. 0/1000
확대이미지 영역
  •  기사 이미지 제15회 곡성세계장미축제, 오는 16일 개막
  •  기사 이미지 ‘유엔(UN)’ 인정 최우수 관광마을 퍼플섬!!!
  •  기사 이미지 보성읍 동윤천, 공조팝나무 만개 하얀 꽃물결 장관 이뤄
한국언론사협회 메인 왼쪽 1
모바일 버전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