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메일전송
남성형 탈모치료제, 여성은 주의를 기울여 사용하세요
  • 기사등록 2010-10-18 16:55:25
기사수정
식품의약품안전청(청장 노연홍)은 의약품을 소비자가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계층·질환·성분별 「의약품안전사용매뉴얼」시리즈 네번째로 ‘발모제 올바르게 사용하기’를 발간․배포한다고 밝혔다.

남성형탈모치료제로는 의사의 처방이 있어야만 구입할 수 있는 전문약 피나스테리드와 두타스테리드 제제와 일반 약국에서 구입할 수 있는 미녹시딜 제제가 있다.

피나스테리드와 두타스테리드 제제는 남성형 탈모를 일으키는 것으로 알려진 남성호르몬(디히드로테스토스테론)으로의 전환을 저해하는 작용을 하지만, 여성을 대상으로 탈모개선에 대한 효과가 관찰되지 않고 가임기 여성이 복용할 경우, 남성태아의 생식기 비정상을 초래할 수 있으므로 모든 여성에서 사용하지 말아야 하며, 경구 투여뿐 아니라 부서진 조각에 노출된 경우에도 피부를 통하여 흡수될 수 있기 때문에 만지지 않아야 한다. 만일 내용물과 접촉한 경우에는 접촉부위를 즉시 물과 비누로 세척하도록 한다.

남성형탈모를 치료하기 위해서는 두피에 바르는 외용약 미녹시딜 5%, 3%, 2% 제제가 있으며, 여성에서 5%제제를 사용시 두피이외에 얼굴, 팔, 다리부위에 털이 나는 다모증이 보고된 바 있어 여성환자는 2, 3% 제제를 사용한다.

또한 혈관을 이완시키는 작용이 있으므로 혈압강하제를 투여중인 고혈압 환자는 5% 제제를 투여하지 않고, 2, 3% 제제를 사용한다.

탈모는 일시적으로 모발이 빠졌다가 다시 나는 급성탈모와 빠진 모발이 다시 나지 않는 만성탈모로 구분되며, 남성호르몬(디히드로테스토스테론)의 작용으로 모낭의 크기를 작아지게 하는 유전자를 활성화시키게 됨으로써 짧고 가느다란 머리카락을 생성하여 탈모가 진행되는 남성형 탈모, 자가면역질환의 일종으로 면역계가 성장기 모근을 공격하여 모낭이 기능을 잃게 되어 발생되는 탈모 증상으로, 특히 청년․ 소아에서의 발병빈도가 높은 원형탈모, 신체적, 정신적 스트레스에 의한 탈모 등 여러 원인이 있다.

식약청은 이러한 정보를 식약청에서 운영하는 온라인 복약정보방(http://medication.kfda.go.kr) 사이트에 게시하여 소비자가 안전하게 의약품을 사용할 수 있도록 지속적인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고 밝혔다.
0
기사수정

다른 곳에 퍼가실 때는 아래 고유 링크 주소를 출처로 사용해주세요.

http://jnnews.co.kr/news/view.php?idx=43729
기자프로필
프로필이미지
나도 한마디
※ 로그인 후 의견을 등록하시면, 자신의 의견을 관리하실 수 있습니다. 0/1000
확대이미지 영역
  •  기사 이미지 강진 보랏빛 코끼리마늘꽃 세상 놀러오세요
  •  기사 이미지 ‘2024 부산모빌리티쇼’ 부산국제모터쇼의 새로운 시작이 되다.
  •  기사 이미지 서구 오연호 오마이뉴스 대표 초청 아카데미
보성신문 메인 왼쪽 3
모바일 버전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