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재명, 윤여준 전 장관과 오찬회동 : 연합뉴스[전남인터넷신문]더불어민주당이 선거대책위원회를 30일께 띄우고 대선 본선 모드로 본격 돌입하는 가운데, '보수 책사'로 불리는 윤여준 전 환경부 장관을 상임 선대위원장으로 영입했다.
대선 후보 경선 결과 89.77%라는 역대 최고 득표율로 당내 탄탄한 지지기반을 확인한 이재명 후보가 이제는 중도·보수 진영으로 눈을 돌려 선대위 출범과 발맞춰 공격적인 외연 확장 행보에 박차를 가하려는 전략으로 풀이된다.
28일 민주당에 따르면 이 후보는 윤 전 장관을 상임 선대위원장으로 영입하기로 결정하고 30일께 열리는 선대위 발족식에서 이런 인선 사실을 공식 발표할 계획이다.
이 후보는 이날 대선 후보로서의 첫 일정으로 이승만·박정희 전 대통령을 포함한 전직 대통령 묘역을 참배한 뒤 기자들과 만나 윤 전 장관 영입 사실을 확인했다.
이 후보는 "윤 전 장관은 평소에도 제게 조언과 고언도 많이 해준다. 제가 조언을 많이 구하는 편"이라며 "많은 분이 계시지만 대표적 인물로 윤 전 장관께 선대위를 전체적으로 한 번 맡아주십사 부탁을 드렸는데 다행히 응해주셨다"고 밝혔다.
당 관계자도 연합뉴스와 통화에서 "중도·보수 명망가 가운데 윤 전 장관을 상임 선대위원장으로 내부 검토해왔다"며 "윤 전 장관도 최근 수락 의사를 밝힌 것으로 안다"고 말했다.
민주당은 윤 전 장관 이외에도 외연 확장 차원에서 복수의 외부 인사 추가 영입도 함께 검토 중이며 선대위 출범 후 순차적으로 인선을 공개할 계획이다.
이 후보는 지난해 당 대표 연임 이후 대선을 겨냥해 중도 확장 '우클릭' 전략을 꾸준히 펴왔다.
이 후보는 작년 10월 윤 전 장관과 오찬 회동을 갖고 정국 상황에 대한 의견을 청취하기도 했다.
전날 당의 대선 후보로 선출된 뒤 '국민 대통합'을 강조한 이 후보는 중도 보수 인사 영입 가능성에 대해 "최대한 넓게, 친소관계 구분 없이 실력 중심으로 사람을 쓰겠다"고 하기도 했다.
이 후보가 이날 첫 공식 일정으로 보수 진영의 전직 대통령 묘역을 찾은 것 역시 공격적인 중도 확장 차원의 일환이다.
한편 민주당은 선대위 내부적으로는 통합에 방점을 찍고 대선 경선 후보로 뛴 김경수 전 경남지사를 상임 선대위원장으로 임명하고 김부겸 전 국무총리와 김두관 전 의원, 대선 후보군으로 거론됐던 박용진 전 의원 등의 합류도 타진하는 방안도 함께 검토 중이다.
다만 경선 후보였던 김동연 경기도지사의 경우 현직 공직자여서 선대위에는 참여하지 않는다.
선대위의 실무 조직은 실용성에 중점을 두고 최대한 '슬림'하게 운영하되 지역 투표율 사수에 '올인'한다는 방침이다.
대신 대부분의 의원을 대선 기간 지역구로 투입해 대선 투표율 올리기에 매진하도록 할 방침이다.
이와 함께 당 차원에서 최고위원 및 중진급 인사들에 광역시도별 공동 선대위원장을 맡길 방침이다.
서울 전현희·김민석 최고위원, 전북 한준호 최고위원, 경기 접경지 김병주 최고위원, 영남 이언주 최고위원, 강원 우상호 전 의원, 광주·전남 박지원 의원 등으로 역할을 나누는 방안이 거론된다.
김민석 최고위원은 이날 MBC 라디오에 출연해 "어제 후보와 당 지도부가 잠깐 의논하는 자리가 있었는데, 후보가 제시한 원칙은 첫째 당을 중심으로 한다, 둘째는 효율적으로 한다, 셋째는 최소한의 중앙 기능을 뺀 전원은 지역에 올인한다는 것"이라며 "통합적이고 효율적이고 현장 밀착적 선대위가 구성될 것"이라고 말했다.
또 다른 당 관계자는 "'사무실에는 표가 없다'는 후보의 인식에 따라 최소한의 인력을 뺀 모두가 지역 표밭으로 나가 지역구 투표율을 무조건 지난 대선 때보다 올리는 데 집중하기로 했다"며 "슬림하되 효율적인 조직 선거 운동"이라고 설명했다.
이 후보를 지근거리에서 보좌할 비서실장의 경우 통상 재선 의원이 맡아왔지만 중요성을 감안해 이번엔 3선 의원급에서 물색 중인 것으로 전해졌다.
한편, 이날 일부 언론에서는 민주당이 국민의힘 김상욱 의원의 영입을 추진한다고 보도했으나 조승래 수석대변인은 기자들을 만나 "민주당은 헌법을 수호하고자 하는 사람들의 손을 잡겠다고 수 차례 말씀드린 바 있지만, 구체적으로 김 의원에 대해 들은 얘기는 없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