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메일전송
'약자 곁에서 71년' 두봉 주교 장례미사 봉헌 ."삶 자체가 복음" - 교황도 애도 메시지…"한국에서 사랑했고 행복했다" 선종 1년 전 음성도 공…
  • 기사등록 2025-04-14 14:30:35
기사수정

두봉 주교 장례 미사 장면 [cpbcTV 유튜브 화면 캡처. 재판매 및 DB 금지] 연합뉴스[전남인터넷신문]"사회적 약자들과 늘 함께하셨습니다. 주교님의 삶은 복음 그 자체였고 그분의 말씀과 행업은 우리에게 큰 울림으로 남아 있습니다."


6·25 전쟁 직후부터 71년간 한국에서 사목한 프랑스 출신 두봉 레나도(프랑스명 르네 뒤퐁) 주교의 삶을 압축한 문장이 14일 오전 경북 안동시 소재 천주교 안동교구 주교좌 목성동성당에서 열린 그의 장례 미사에서 낭독됐다.


"'고맙습니다. 감사합니다'…두봉 레나도 주교님께서 생전에 가장 많이 가장 자주 사용하신 말씀이라고 저는 생각합니다. 마지막에 남기고 가신 말씀도 '감사합니다. 정말 감사합니다'라는 말씀이었습니다."


장례미사를 주례한 안동교구장 권혁주 주교는 두봉 주교가 이달 7일 갑자기 뇌경색을 일으켜 안동병원에서 긴급 시술을 받고 이후 의식을 회복해 10일 마지막 고해성사를 한 뒤 선종할 때까지의 과정을 설명했다. 이어 매사를 축복으로 여긴 두봉 주교의 유언을 참석자들에게 전했다.


십자가와 두봉 주교십자가와 두봉 주교 : 연합뉴스

권 주교는 "마음으로도 몸으로도 가난하게 사시면서 가난한 이들과 조건 없이 베풀고 나누는 삶을 살며 함께 하셨다"고 두봉 주교의 삶을 회고했다.


그는 "때때로 많은 선교사가 종교적 세력 확장에만 급급하다고 비판받기도 했지만, 두봉 주교는 그렇지 않았다"며 "믿는 사람에게도, 믿지 않는 사람에게도 하느님 나라와 복음을 있는 그대로, 진리와 가치 자체를 있는 그대로 전하고자 하셨다"고 덧붙였다.


교황도 애도 메시지를 보냈다.


주한교황대사 조반니 가스파리 대주교는 "프란치스코 교황 성하께서는 두봉 주교님의 선종 소식을 듣고 매우 슬퍼하셨으며 주교님과 성직자, 수도자, 평신도들 그리고 안동교구 전체에 진심 어린 애도와 위로를 전하신다"고 말했다.


프랑스 출신 하대건 신부는 "두봉 주교님은 한국과 한국 사람들을 온 마음으로 사랑하셨다"며 "주교님을 주교로, 사제로, 그리고 친구로 이 한국 땅에 보내주셔서 감사하고, 많이 그리울 것"이라고 한국어로 또박또박 고별사를 했다.


두봉 주교두봉 주교 : 연합뉴스

성당에는 두봉 주교가 선종 1년 전인 작년 4월 10일 녹음한 음성이 답사 형식으로 울려 퍼졌다.


"금년에 한국에 온 지가 70년이에요. 70년 동안 그래도 사랑하고 행복했다. 내가 참 복을 받았다."


말하던 도중 두봉 주교가 특유의 웃음을 터뜨리자 신자들도 잠시 슬픔을 떨치고 따라 웃기도 했다.


이윽고 미사가 끝나 이별의 시간이 오자 신자들은 관을 어루만지며 헤어짐을 아쉬워했다. 신자들은 "잘 가세요", "감사했습니다"라고 인사를 하거나 오열하기도 했다.


장례미사는 한국천주교주교회의 의장 이용훈 주교, 염수정 추기경, 서울대교구장 정순택 대주교 등 한국천주교 주요 인사와 가톨릭 농민회 관계자 및 신자들이 참석한 가운데 엄수됐다.


두봉 주교 장례미사 참석한 김문수-이준석…스님도 애도두봉 주교 장례미사 참석한 김문수-이준석…스님도 애도 : 연합뉴스

개혁신당 이준석 의원과 김문수 전 고용노동부 장관 등 대선 출마를 선언한 정치인들과 함께 안동 대원사 주지 도륜스님과 이 지역 유림 등 다른 종교인도 참석해 눈길을 끌었다.


1929년 프랑스 오를레앙의 가톨릭 신자 가정에서 3남 2녀 중 차남으로 태어난 두봉 주교는 1950년 파리외방전교회에 입회한 뒤 1953년 사제품을 받고 이듬해 12월 한국으로 파송됐다.


천주교 대전교구 대흥동성당 보좌신부, 대전교구청 상서국장, 파리외방전교회 한국지부장을 거쳐 1969년 초대 안동교구장으로 임명되고 주교품을 받았다.


갓 쓰고 부채 든 두봉 주교갓 쓰고 부채 든 두봉 주교 : 연합뉴스

안동교구장 시절 가난한 사람과 농민을 위한 사목 활동에 힘을 썼다. 특히 천주교 신자이며 농민회 영양군 청기 분회장이던 오원춘 씨가 '영양군이 감자 경작을 권장했지만, 종자가 불량해 싹이 나지 않는다'며 항의했다가 납치되자 두봉 주교는 사제들과 함께 박정희 정권에 맞섰다. 이 사건으로 추방 위기로 내몰리기도 했지만, 약자를 옹호한다는 원칙을 굽히지 않았다.


평소 '한국인이 안동교구장을 맡아야 한다'는 소신을 지녔던 두봉 주교는 정년을 14년이나 남긴 1990년 12월 안동교구장에서 물러났다. 근래에는 경북 의성의 한 공소(公所)에서 생활하며 주민들을 대상으로 미사를 주례하거나 멀리서 찾아오는 신자들에게 고해성사해주기도 했다.


그는 1982년 프랑스 나폴레옹 훈장을 받았고 2012년에는 만해사상실천선양회가 주는 만해대상 실천부문상을 받았다. 2019년에는 한양대 백남기념사업회가 주는 백남상(인권·봉사 부문)과 법무부가 주관하는 올해의 이민자상(대통령표창)을 받았으며, 대한민국 특별 국적도 취득했다. 저서로 수필집 '사람의 일감'(문음사, 1989년)과 '가장 멋진 삶'(바오로딸, 2011년)이 있다. 2022년 1월 tvN 예능 '유 퀴즈 온 더 블럭'에 출연해 종교의 구분을 넘어 대중들에게 친숙한 인물이 됐다.

0
기사수정

다른 곳에 퍼가실 때는 아래 고유 링크 주소를 출처로 사용해주세요.

http://jnnews.co.kr/news/view.php?idx=402064
기자프로필
프로필이미지
나도 한마디
※ 로그인 후 의견을 등록하시면, 자신의 의견을 관리하실 수 있습니다. 0/1000
확대이미지 영역
  •  기사 이미지 보성군, 모래판 위의 한판 승부!
  •  기사 이미지 장흥 하늘빛수목정원 ‘형형색색’ 튤립꽃 활짝
  •  기사 이미지 보성군, 5월 3일부터 5일까지 제21회 일림산 철쭉문화행사 개최
한국언론사협회 메인 왼쪽 1
모바일 버전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