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메일전송
남성 육아휴직 정착됐나, 작년 육아휴직자 전체의 30% 첫 돌파 - 전체 13만2천명 중 4만1천명…남성 육아휴직 9년새 9배 증가 - 일·가정 양립제도 수급자 수 25만6천명…전년比 7.2% 늘어
  • 기사등록 2025-02-23 13:59:23
기사수정

남성 육아휴직 증가세 (CG) : 연합뉴스[전남인터넷신문]지난해 육아휴직 사용자 중 남성의 비율이 처음으로 30%를 넘어섰다.


고용노동부는 지난해 출산휴가와 육아휴직 등 일·가정 양립제도 혜택을 받은 수급자 수가 25만6천771명으로, 전년도 23만9천529명보다 1만7천242명(7.2%) 증가했다고 23일 밝혔다.


이중 육아휴직자는 13만2천535명으로, 2023년 12만6천8명 대비 6천527명(5.2%) 늘었다.


출생아 수 감소 추세로 2023년 다소 줄었던 육아휴직 사용자는 일·가정 양립 제도 확대에 힘입어 지난해 다시 증가로 돌아선 것으로 풀이된다.


특히 남성 육아휴직자는 4만1천829명으로, 전체의 31.6%를 차지해 제도 시행 이래 처음으로 30%를 돌파했다. 2023년 남성 육아휴직자는 3만5천336명으로, 전체의 28%였다.


2015년 남성 육아휴직자 수가 4천872명(5.6%)이었던 것을 고려하면 9년 새 9배 가까이 증가한 것이다.


증가세는 올해도 계속되고 있다.


올해 1월 1일 이후 30일 영업일 기준 남성 육아휴직 사용자 수는 전년 동기 대비 69.2% 늘어났다. 전체 육아휴직 사용자 수 증가율 42.6%를 웃돈다.


자녀 연령별로는 부모의 돌봄이 가장 필요한 0세(생후 12개월 이내) 육아휴직 사용이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여성은 80.0%(2.1%포인트↑), 남성은 46.5%(7.5%포인트↑)가 자녀 0세 때 육아휴직을 사용했다.


기업 규모별로 보면 지난해 중소기업 소속 육아휴직자는 7만5천311명(56.8%)으로, 2023년 대비 1.2%포인트 증가했다.


100인 미만 소속 근로자도 6만128명(45.4%)으로 전년 대비 0.9%포인트 늘었다.


육아휴직 평균 사용기간은 8.8개월로 여성은 9.4개월, 남성은 7.6개월이다.


한편 지난해 육아기 근로시간 단축 사용자는 2만6천627명으로, 전년도 2만3천188명보다 3천439명 증가했다.


육아휴직에 비해 사용자 수가 적지만, 지난해 14.8% 늘어나 증가율은 육아휴직(5.2%)의 2.8배에 달했다.


이 제도는 특히 중소기업 소속 근로자가 전체 수급자의 62.8%(1만6천718명)를 차지해 육아휴직(56.8%)에 비해 높게 나타났다.


김문수 노동부 장관은 "일하는 부모 누구나 걱정 없이 출산과 육아를 하고 경력을 이어갈 수 있게 올해 확대된 일·가정 양립제도가 현장에서 잘 안착하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표] 2023·2024년 일·육아지원 제도 혜택을 받은 수급자 수


구분육아휴직육아기
근로시간 단축
출산휴가
(유사산 포함)
배우자
출산휴가
합계
2023년126,008명23,188명74,536명15,797명239,529명
2024년132,535명
(6,527명·5.2%↑)
26,627명
(3,439명·14.8%↑)
79,368명
(4,832명·6.5%↑)
18,241명
(2,444명·15.5%↑)
256,771명
(7,242명·7.2%↑)

..

0
기사수정

다른 곳에 퍼가실 때는 아래 고유 링크 주소를 출처로 사용해주세요.

http://jnnews.co.kr/news/view.php?idx=398072
기자프로필
프로필이미지
나도 한마디
※ 로그인 후 의견을 등록하시면, 자신의 의견을 관리하실 수 있습니다. 0/1000
확대이미지 영역
  •  기사 이미지 보성 초암정원, 애기동백 꽃길에서 만나는 겨울의 정취
  •  기사 이미지 눈 쌓인 노고단 탐방로 현재 상황?
  •  기사 이미지 김이강 서구청장, 자원회수센터 방문
한국언론사협회 메인 왼쪽 1
모바일 버전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