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메일전송
전남보건환경연구원, 라임병 원인균 최초 분리 - - 참진드기에서 보렐리아균 70.7% 검출 확인 -
  • 기사등록 2025-02-04 15:30:10
기사수정

[전남인터넷신문/유길남.서성열 기자]전라남도보건환경연구원(원장 안양준)은 참진드기에서 라임병 원인균인 보렐리아균을 검출해 전국 보건환경연구원 최초로 분리에 성공했다고 밝혔다.


전남도보건환경연구원은 지난 한해 동안 국립보건연구원 인수공통감염연구과, 전남대학교 수의과대학과 함께 참진드기 매개 질환 연구를 위해 참진드기에서 라임병 원인균 분리를 시도했다.


그 결과 5월부터 11월까지 야생 설치류로부터 채집한 참진드기 116마리 중 약 70.7%에서 보렐리아균의 유전자가 검출됐으며, 15건의 병원체를 분리했다. 분리된 병원체 15건은 모두 라임병 원인균 중 하나인 ‘보렐리아 발레이시아나(Borrelia valaisiana)’로 확인됐는데, 해당 병원체는 남부지역에서 많이 검출되는 것으로 보고됐다.


분리된 병원체는 국내 주요 참진드기가 매개하는 질환에 대한 백신, 치료체, 진드기 퇴치제 등 개발을 위해 제공할 예정이다.


라임병은 보렐리아속균 감염에 의한 참진드기 매개 질환으로 주로 감염된 산림참진드기, 일본참진드기 등이 사람을 물어 전파된다. 주로 북미지역에서 발생하는 감염병으로 알려져 있으며, 국내에서는 2012년에 첫 감염자가 확인된 이후로 꾸준히 발생하고 있다. 주로 유주성 홍반(과녁모양 홍반)을 동반하며 발열, 오한, 두통 등의 전신 증상을 나타낸다. 치명률은 0.1% 미만으로 낮지만, 치료를 받지 않으면 뇌수막염, 뇌신경염 등 신경학적 증상으로 진행될 수 있다.


윤기복 전남도보건환경연구원 감염병조사1과장은 “국내 참진드기에서 높은 보렐리아균 보유율이 확인된 만큼 라임병에 대한 주의가 특별히 요구되며, 진드기 매개 질환을 예방하기 위해서는 야외활동 시 진드기에 물리지 않는 것이 중요하다”고 말했다. 이어 “기피제를 사용하고, 활동 후 샤워를 꼼꼼히 해야 하며, 또한 야외활동 후 증상이 나타나면 즉시 보건소나 의료기관을 방문해 상담을 받아야 한다”고 당부했다.

0
기사수정

다른 곳에 퍼가실 때는 아래 고유 링크 주소를 출처로 사용해주세요.

http://jnnews.co.kr/news/view.php?idx=396678
기자프로필
프로필이미지
나도 한마디
※ 로그인 후 의견을 등록하시면, 자신의 의견을 관리하실 수 있습니다. 0/1000
확대이미지 영역
  •  기사 이미지 노란 유채꽃 물결에 빠진 월출산
  •  기사 이미지 보성군, 전국생활체육대축전 축구․패러글라이딩 종목 유치
  •  기사 이미지 안드레연수원서 ‘사랑과 축복 집회 빛이 되리라’ 열려
한국언론사협회 메인 왼쪽 1
모바일 버전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