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메일전송
[기고] 코로나의 끝과 안전한 전통시장의 시작 - 여수소방서 봉산119 안전센터 센터장 서대원
  • 기사등록 2022-05-29 18:36:04
기사수정

끝날 것 같지 않던 코로나가 점차 누그러지는 추세다하나둘 코로나 이전의 일상으로 돌아가면서 지금까지 누리지 못하는 자유를 누리고자 산과 바다로 발걸음을 옮기는 늦깍이 상춘객들도 많아지고 있다이에 발맞춰 우리의 전통사장들도 무거운 기분을 털어내고 점차 활기를 띄고 있다.

 

과거와 현재의 모습이 공존하고 옛 추억이 살아 숨 쉬는 전국의 5일장상설시장에는 풍부한 먹거리가 있고사람들의 정과 활력이 넘쳐나며 여행객들에게는 지역의 문화적 특징을 한 눈에 볼 수 있는 볼거리의 장이라고 할 수 있겠다.

 

하지만 많은 사람들이 이용하는 만큼 많은 화재 사건 사고도 발생하였다지난 1월 국회입법조사처가 발간한 전통시장 소방안전관리 강화방안’ 보고서에서는 지난 5년간 (2017~ 2021300여건의 전통시장 화재가 발생했다고 분석했다


매년 평균 60건 정도의 화재에 재산 피해액만 약 1,500억원에 다다른다


전통시장의 대부분이 좁은 통로로 되어있어 불특정 다수인의 대피가 용이하지 않고노후화 된 전기배선등의 시설이 화재의 주된 원인이 되기도 한다


문어발식으로 전기코드사용으로 인한 과부화와 먼지가 가득한 환풍기타기쉬운 종이쓰레기 적재 등이 화재가능성을 부추기는 원인이 된다.

 

이를 예방하고자 시설물의 현대화와 피해구제 제도 등 국가적인 정책이 최우선 되어야 하고상인들 스스로 주인의식을 가지고 좌판이나 적치물을 정비하고소방시설점검에 주의를 기울어야 할 것이다.


길고 길었던 코로나 시대가 점차 종식되고 있다즐거운 여행과 행복한 추억만이 가득한또 오고 싶은 전통시장을 만들기 위해 우리 모두가 함께 노력해야 할 것이다.

0
기사수정

다른 곳에 퍼가실 때는 아래 고유 링크 주소를 출처로 사용해주세요.

http://jnnews.co.kr/news/view.php?idx=327320
기자프로필
프로필이미지
나도 한마디
※ 로그인 후 의견을 등록하시면, 자신의 의견을 관리하실 수 있습니다. 0/1000
확대이미지 영역
  •  기사 이미지 서구, 골목정원 가꾸기로 ‘함께서구’
  •  기사 이미지 보성군 차(茶)향 물씬 풍기는 초록빛 수채화 풍경
  •  기사 이미지 곡성 곡성세계장미축제 개장
한국언론사협회 메인 왼쪽 1
모바일 버전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