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메일전송
개통 2주년 맞은 혁신장터, 명실상부 혁신조달 단일창구로 자리잡아 - 전년 대비 방문자 수 2배 증가, 시범구매 참여 기관 수도 전년 대비 35.2% 증… - 혁신장터 집계 혁신구매 실적 6,223억원, 전년 대비 32.7% 증가
  • 기사등록 2022-02-24 13:39:13
기사수정

[전남인터넷신문/정해권 기자]조달청(청장 김정우)이 운영하는 ‘혁신장터(ppi.g2b.go.kr)’의 누적 방문자 수가 20만명을 돌파하는 등 대다수의 수요기관이 이용하는 혁신조달의 단일 창구로 자리잡은 것으로 나타났다.

 

올해 2월 24일 2주년을 맞는 혁신장터는 공공부문 수요발굴부터 혁신제품의 지정 및 시범 구매까지 혁신조달의 모든 과정을 지원하는 범정부 혁신조달 포털이다. 

 

지난 2년 간 혁신조달 단일창구로서 혁신제품 구매의 중추적인 역할을 한 혁신장터의 주요 성과는 아래와 같다. 

 

(이용자 수)  혁신장터에 등록한 이용자는 전년 대비 78% 증가한 37,000명(누적)으로, 이 중 수요기관 51.6%, 혁신기업이 48.4%를 차지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특히, 지난 2년간 4,539건의 혁신조달 아이디어가 혁신장터를 통해 제안되었으며, 이 중 35개 아이디어는 제품 개발로 추진되고 있다.

 

(구매금액) 지난해 혁신장터를 통해 집계된 실적을 보면, 1,373개의 공공기관이 전년 대비 32.7% 증가한 6,223억원 규모의 혁신제품을 구매한 것으로 파악되었다.

 

* 2020년 혁신구매 실적 4,690억원, 2021년 혁신구매 실적 6,223억원

 

특히, 혁신장터 전용몰에 전년 대비 86.8% 증가한 958개의 상품이 등록되어 혁신제품 구매를 견인하고 있다.

 

(시범 구매) 공공기관이 혁신제품의 첫 구매자가 되는 시범구매사업에 지난해 392개 기관이 참여하여 전체 참여 기관 수 717개, 총 구매 금액은 744억원으로 늘어났다. 

 

시범구매에 참여한 혁신제품 수도 큰 폭으로 증가(‘20년 66개 → ’21년 166개, 누적 260개)하여, 다양한 혁신제품들이 실제 공공시장에서 판로를 확보한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조달청은 혁신장터 개통 2주년을 맞아 오는 24일부터 초·중·고교를 대상으로 혁신수요 아이디어 공모전을 실시한다.

 

공모전에서 선정된 우수 아이디어는 제품 개발로 연결하고, 해당 학교에서 혁신제품을 사용하도록 할 계획이다. 

 

김정우 조달청장은 “지난 2년간 혁신장터를 통한 혁신제품 거래 규모, 이용자 수 증가 등 양적인 측면에서 성과가 있었다”면서 “혁신수요 발굴 대상을 각계 전문가 및 일반 국민으로 확대하고  우수한 혁신제품에 대한 시범구매를 확대하여 다양한 현장에서 혁신조달 성과를 체감할 수 있도록 하겠다”고 말했다. 

0
기사수정

다른 곳에 퍼가실 때는 아래 고유 링크 주소를 출처로 사용해주세요.

http://jnnews.co.kr/news/view.php?idx=320955
기자프로필
프로필이미지
나도 한마디
※ 로그인 후 의견을 등록하시면, 자신의 의견을 관리하실 수 있습니다. 0/1000
 기사 이미지 보성군, 모래판 위의 한판 승부!
  •  기사 이미지 보성군, 모래판 위의 한판 승부!
  •  기사 이미지 장흥 하늘빛수목정원 ‘형형색색’ 튤립꽃 활짝
  •  기사 이미지 보성군, 5월 3일부터 5일까지 제21회 일림산 철쭉문화행사 개최
한국언론사협회 메인 왼쪽 1
   
   
   
   
   
   
   
   
   
   
   
   
   
   
   
   
   
   
   
   
   
   
모바일 버전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