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메일전송
토종민물새우 유해화학물질에 대한 민감도 높아
  • 기사등록 2009-08-31 13:05:45
기사수정
국립환경과학원(원장:고윤화)은 “고유생물종을 이용한 생태독성평가방법 개발 및 표준화(II)” 연구를 수행하고, 그 결과로서 국내 서식 민물새우인 새뱅이가 대표적인 유해화학물질에 대한 독성 민감도가 비교적 높아 독성시험에 유용한 종으로 사용될 수 있음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는 유해화학물질에 대한 환경독성평가를 수행하는데 있어서 외래생물종 독성자료에 의존해 온 이제까지의 연구범위를 탈피하여 국내 고유생물종을 이용한 환경독성평가 수단을 마련하기 위해 2007년부터 수행하고 있다.

새뱅이를 이용하여 대표적인 독성시험물질 중 펜타클로로페놀(PCP), 아지드화나트륨, 중크롬산칼륨에 대해 급성독성시험을 수행한 결과, 외래생물종과 비교하여 새뱅이의 독성민감도가 비교적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펜타클로로페놀(PCP), 아지드화나트륨, 중크롬산칼륨에 대한 새뱅이의 평균 96시간 반수치사농도(LC50)는 각각 0.53, 2.40, 1.21 mg/L로 나타났다.

- 이는 기존 연구로부터 조사된 외래시험종들의 각 시험물질에 대한 반수치사농도인 0.11~5.09, 0.68~5.46, 0.25~139 mg/L과 비교해 볼 때 비교적 낮은 수준의 값을 보이는 것이다.

일반적으로 독성값이 낮은 생물일수록 민감한 독성시험종으로 사용될 수 있다. 따라서 새뱅이는 유해화학물질에 대해 민감한 독성시험종으로 사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또한 각 시험물질에 대해 3회 반복시험을 수행한 결과 결과값 사이에 편차가 작아 새뱅이는 일관된 독성값을 산출할 수 있는 장점을 지닌 시험생물종으로 사용가능할 것으로 판단되었다.

새뱅이 알을 이용한 초기생장단계 독성시험 적용 가능성을 알아보기 위하여 중크롬산칼륨에 알을 노출시킨 결과,

중크롬산칼륨의 농도가 증가할수록 알과 부화 후 어린 개체의 치사율이 높아졌으며 알의 부화율이 낮아지는 등 농도와 독성크기의 상관성이 잘 나타나 새뱅이 알을 이용한 독성시험 수행이 가능할 것으로 판단되었다.

앞으로 국립환경과학원은 새뱅이에 대한 급성독성시험의 시험조건 및 절차를 표준화하여 생태독성 시험종으로서의 가능성을 확인하고 시험절차를 마련해 나갈 계획이다.
0
기사수정

다른 곳에 퍼가실 때는 아래 고유 링크 주소를 출처로 사용해주세요.

http://jnnews.co.kr/news/view.php?idx=27171
기자프로필
프로필이미지
나도 한마디
※ 로그인 후 의견을 등록하시면, 자신의 의견을 관리하실 수 있습니다. 0/1000
확대이미지 영역
  •  기사 이미지 강진 보랏빛 코끼리마늘꽃 세상 놀러오세요
  •  기사 이미지 ‘2024 부산모빌리티쇼’ 부산국제모터쇼의 새로운 시작이 되다.
  •  기사 이미지 서구 오연호 오마이뉴스 대표 초청 아카데미
보성신문 메인 왼쪽 3
모바일 버전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