즐겨찾기로 설정하기
로그인
회원가입
전남뉴스
전체뉴스
광주
목포
여수
순천
나주
광양
담양
곡성
구례
고흥
보성
화순
장흥
강진
해남
영암
무안
함평
영광
장성
완도
진도
신안
전남
뉴스종합
사회
정치
경제
문화
연예
스포츠
과학
생활·건강
포토
사건·사고
해외
카메라고발
지역
6.13지방선거
지역권뉴스
서울
경기
인천
부산
경남
대구
경북
대전
충남
강원
전북
제주
충북
산림청
칼럼·오피니언
객원기고
정책자료
전문뉴스
상식뉴스
보도자료
시민기자뉴스
박영동시론
살림단상
시가 있는 세상
교육칼럼
허북구 농업칼럼
기자수첩
축제·관광
UCC동영상
정치갤러리
쇼핑몰
지역축제
문화재
특산물
농산물
수산물
전국 관광지
독자마당
공지사항
자유게시판
각종모임
포토갤러리
최종편집일
2025.04.02
(수)
기사 메일전송
홈
뉴스종합
포토
페이스북 공유하기
트위터 공유하기
구글플러스 공유하기
라인 공유하기
네이버블로그 공유하기
네이버밴드 공유하기
스크랩하기
프린트하기
이메일보내기
글자확대
글자축소
강진청자박물관소장 유물 4점 도 문화재로 지정
기사등록
2008-07-07 07:01:00
기사수정
청자상감연국모란문과형주자 국가지정문화재(국보, 보물)로 신청할 계획
고려시대 강진에서 제작된 청자유물이 빛을 발하고 있다.
청자박물관에 따르면 지난 6월 27일 전라남도 문화재 심의 결과 소장 유물 3점이 유형문화재로, 1점이 문화재자료로 지정되었다고 7일 밝혔다.
이번에 지정된 전라남도 유형문화재는 청자상감연국모란문과형주자(제292호)를 비롯한 청자상감유로수금문병(제293호), 청자상감‘王’명잔탁(제294호) 등 3점이다.
또한 전라남도 문화재자료에는 청자상감운학국화문개합(제268호)이 지정되었다.
기증유물인 청자상감‘王’명잔탁을 제외한 3점은 2006년과 2007년에 청자박물관이 구입한 것으로 고려시대 최고의 작품을 엿 볼 수 있다.
청자박물관은 1997년 개관이래 청자를 지속적으로 구입해왔으며 최근에 몇 년 동안 지자체로서는 드물게 유물구입 예산을 확대해 왔다.
청자상감‘王’명잔탁은 대구면 당전에 사는 주민이 대구면 사당리에서 발견해 1998년 청자박물관에 기증한 유물이다.
또한 뚜껑과 대접, 받침이 세트를 이루고 있는 청자상감운학국화문개합은 이와 유사한 청자 편들이 대구면 사당리 일대 가마터에서 발견돼 강진에서 제작된 것으로 볼 수 있다.
강진군 윤순학 청자박물관장은 “이번 문화재 지정을 통해 강진청자박물관은 문화재를 소장한 박물관이 되었다”며 “앞으로 4점의 유물을 문화재청에 국보나 보물 같은 국가지정문화재로 지정해 줄 것을 신청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한편 이번에 전라남도 지방문화재로 지정된 4점의 청자 유물들은 6월 27일부터 7월 26일까지 한 달간의 공고기간을 거친 후 최종 전라남도 지방문화재로 지정된다.
0
기사수정
다른 곳에 퍼가실 때는 아래 고유 링크 주소를 출처로 사용해주세요.
http://jnnews.co.kr/news/view.php?idx=23131
페이스북 공유하기
트위터 공유하기
구글플러스 공유하기
라인 공유하기
네이버블로그 공유하기
네이버밴드 공유하기
스크랩하기
프린트하기
이메일보내기
글자확대
글자축소
기자프로필
김승룡
나도 한마디
※ 로그인 후 의견을 등록하시면, 자신의 의견을 관리하실 수 있습니다.
0
/1000
확대이미지 영역
강진군, 농특산물 유튜브 라이브 방송으로 판로 확대
친환경 웰빙식품 무등골 오디 본격 출하
뉴욕핫도그앤커피, 광주 기아 챔피언스필드서 ‘타이거즈덕’ 한정판매
최근 기사
+더보기
1
[2025년 3월 기후특성] 이례적인 3월, 중순 대설, 하순 고온·건조 지속
2
나주시, 지역사회가 함께하는 제1회 청소년 문화축제 ‘싹싹나주’ 개최
3
최무경 전남도의원, 공항소음 해법 찾기 나서 . “주민 체감 대책 마련 시급”
4
尹 탄핵심판 선고일에 창경궁도 야간관람 중단 .행사 취소·연기
5
현대차, 베뉴 연식변경 출시 .트림 추가·안전사양 강화
6
말차 수요의 증가
7
신부만 관리하나요? 완벽한 웨딩, 신랑의 자기관리 4대 체크리스트
8
‘2025 대한민국 디지털 문학상’ 4월 7일부터 온라인 접수
9
지구를 위한 한마음, 강진교육의 넷제로(Net Zero) 선언
10
김문수 의원, 공공정책에 발생하는 갈등, 체계적으로 관리한다.
모바일 버전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