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리랑 3호』, 내일 새벽 발사 예정
70cm급 고해상도 카메라로 정밀 지구관측 가능
2012-05-17
김동국 기자 jck0869@hanmail.net
교육과학기술부(장관 李周浩)와 한국항공우주연구원(원장 金承祚)은 지구관측위성 ‘아리랑 3호’가 발사 준비를 정상적으로 완료하여 5월 18일 오전 1시 39분경에 일본 다네가시마 발사장에서 발사될 계획이라고 밝혔다.
아리랑 3호는 오늘 일본우주항공연구개발기구(JAXA)의 GCOM-W1 위성 등과 함께 ‘H-IIA 발사체’에 조립된 상태로 발사대로 정상적으로 이송되어 발사를 기다리고 있다.
발사를 주관하고 있는 일본우주항공연구개발기구(JAXA)는 오전 9시30분 현재 발사 준비상황 및 현지 기상조건 등이 양호하여, 발사가 순조롭게 진행될 것이라고 밝혔다.
아리랑 3호는 70cm급 고해상도 전자광학 카메라를 탑재한 지구 관측위성으로, 향후 4년간 685km 상공에서 공공안전, 재해재난, 국토ㆍ자원관리, 환경감시 등에 활용될 고해상도 지구관측영상을 공급할 예정이다.
아리랑 3호는 발사 약 16분 후 로켓과 최종 분리되며 약 39분 후에 남극에 위치한 트롤(Troll) 지상국과, 약 89분 후에 스발바드(Svalvard)지상국과 차례로 교신을 시도할 예정이다.
발사 후 1시간 40분 후(한국시간 18일 오전 3시 19분)에는 대전 한국항공우주연구원의 지상국과 첫 교신을 통해 위성의 상태 등을 확인할 예정이다.
다만, 발사 초기에는 궤도정보의 오차와 위성의 초기 자세에 따라 지상국과의 교신이 지연될 수 있다.
교육과학기술부는 아리랑 3호의 성공적인 발사를 위해 발사관리단(단장 : 조율래 교육과학기술부 연구개발정책실장)을 현지에 파견하여 발사준비 상황을 종합점검하고 있으며, 발사장에는 한국항공우주연구원, 참여기관 등 기술진 약 20여명이 위성의 최종 발사준비를 진행하고 있다.
김동국 기자 jck0869@hanmail.net
아리랑 3호는 오늘 일본우주항공연구개발기구(JAXA)의 GCOM-W1 위성 등과 함께 ‘H-IIA 발사체’에 조립된 상태로 발사대로 정상적으로 이송되어 발사를 기다리고 있다.
발사를 주관하고 있는 일본우주항공연구개발기구(JAXA)는 오전 9시30분 현재 발사 준비상황 및 현지 기상조건 등이 양호하여, 발사가 순조롭게 진행될 것이라고 밝혔다.
아리랑 3호는 70cm급 고해상도 전자광학 카메라를 탑재한 지구 관측위성으로, 향후 4년간 685km 상공에서 공공안전, 재해재난, 국토ㆍ자원관리, 환경감시 등에 활용될 고해상도 지구관측영상을 공급할 예정이다.
아리랑 3호는 발사 약 16분 후 로켓과 최종 분리되며 약 39분 후에 남극에 위치한 트롤(Troll) 지상국과, 약 89분 후에 스발바드(Svalvard)지상국과 차례로 교신을 시도할 예정이다.
발사 후 1시간 40분 후(한국시간 18일 오전 3시 19분)에는 대전 한국항공우주연구원의 지상국과 첫 교신을 통해 위성의 상태 등을 확인할 예정이다.
다만, 발사 초기에는 궤도정보의 오차와 위성의 초기 자세에 따라 지상국과의 교신이 지연될 수 있다.
교육과학기술부는 아리랑 3호의 성공적인 발사를 위해 발사관리단(단장 : 조율래 교육과학기술부 연구개발정책실장)을 현지에 파견하여 발사준비 상황을 종합점검하고 있으며, 발사장에는 한국항공우주연구원, 참여기관 등 기술진 약 20여명이 위성의 최종 발사준비를 진행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