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검색
폭염 속 온열질환 정확히 알고 예방합시다 여수소방서 여서119안전센터 소방사 조만 2024-05-27
김승룡 jnnews.co.kr@hanmail.net

여름철 고온 환경에서 발생하는 온열질환은 신속한 대처와 예방이 중요합니다. 대표적인 온열질환으로는 열사병, 열탈진, 열경련, 일사병 등이 있습니다. 이들 질환은 심각한 건강 문제를 초래할 수 있어 주의가 필요합니다.

 

온열질환의 유형과 증상

 

먼저 열사병은 체온이 40도 이상으로 급격히 상승하며 의식 혼미, 발작, 어지럼증, 두통, 메스꺼움, 구토, 호흡 곤란 등의 증상이 나타납니다. 피부는 뜨겁고 건조해지며, 이러한 상황에서는 즉각 119에 신고하고 환자를 시원한 곳으로 옮겨 체온을 낮추는 것이 필요합니다. 물을 뿌리거나 얼음주머니를 사용해 체온을 낮추고, 의식이 있는 경우 물을 조금씩 마시게 해야 합니다.

 

열탈진은 심한 발한, 두통, 어지럼증, 구토, 피로, 근육 경련 등의 증상이 있으며, 피부가 창백하고 축축해지는 것이 특징입니다. 이 경우 시원한 곳에서 휴식을 취하며 옷을 느슨하게 풀고 수분을 보충해야 합니다. 스포츠 음료로 전해질을 보충하고, 증상이 지속되면 의료기관을 방문하는 것이 좋습니다.

 

열경련은 주로 복부, 팔, 다리 근육에 경련이 발생하는 것이 특징입니다. 땀이 많이 나고 갈증이 심할 수 있습니다. 이런 경우 시원한 곳에서 휴식하고 수분과 전해질을 보충하며, 경련 부위를 마사지하면 증상이 완화될 수 있습니다.

 

일사병은 고온 환경에서 갑작스러운 기립성 저혈압으로 인해 실신하는 경우를 말합니다. 현기증과 함께 의식이 잠시 동안 흐려질 수 있습니다. 이럴 때는 환자를 눕히고 다리를 올려 혈액 순환을 돕고, 시원한 곳에서 휴식하며 수분을 보충해야 합니다.

 

예방 방법

 

첫째, 적절한 수분 섭취가 필수적입니다. 갈증을 느끼기 전에 물을 자주 마셔야 하며, 운동 중이나 야외 활동 시 전해질이 포함된 스포츠음료를 섭취하는 것이 좋습니다. 카페인이나 알코올음료는 피하는 것이 바람직합니다.

 

둘째, 시원한 환경을 유지해야 합니다. 에어컨이 있는 실내에서 머무르거나, 외출 시에는 그늘진 곳에서 활동하는 것이 좋습니다. 휴식 시 선풍기나 냉각기를 사용해 시원한 환경을 유지해야 합니다.

 

셋째, 옷차림을 신경 써야 합니다. 통기성이 좋은 옷을 입고, 밝은 색의 옷을 선택해 햇빛 반사를 돕는 것이 좋습니다. 모자나 양산을 사용해 직사광선을 피하는 것도 유용합니다.

 

넷째, 활동을 조절해야 합니다. 무더운 시간대(오후 12시~4시)에는 외부 활동을 자제하고, 야외 활동이나 운동 시 자주 휴식을 취하며 물을 마셔야 합니다.

 

응급 처치 방법

 

 온열질환이 의심될 때의 응급 처치 방법도 알아두어야 합니다. 열사병이 의심될 경우 즉각 119에 신고하고 환자를 시원한 곳으로 옮기고 옷을 느슨하게 풀며 체온을 낮추기 위해 물을 뿌리거나 얼음주머니를 사용해야 합니다. 의식이 없거나 호흡에 문제가 있을 경우 응급처치(CPR)를 시행해야 합니다.

 

열탈진이 의심되면 시원한 곳에서 휴식하고 옷을 느슨하게 풀며 수분을 보충합니다. 스포츠 음료로 전해질을 보충하고, 증상이 지속되면 의료기관을 방문해야 합니다.


열경련이 의심될 때는 시원한 곳에서 휴식하며 수분과 전해질을 보충하고, 경련 부위를 마사지해야 합니다. 일사병이 의심될 경우 환자를 눕히고 다리를 올려 혈액 순환을 돕고, 시원한 곳에서 휴식하며 수분을 보충해야 합니다.

 

온열질환은 예방이 최선이므로, 고온 환경에서 활동할 때는 항상 주의하고 필요한 조치를 취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폭염 속 건강을 위해 온열질환에 대한 충분한 이해와 준비로 대비합시다.

최신 기사

포토뉴스

지역권뉴스

메뉴 닫기

주소를 선택 후 복사하여 사용하세요.

뒤로가기 새로고침 홈으로가기 링크복사 앞으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