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남도, 구제역 비상방역 가동
인천시 강화군 구제역 재발생…비상체계 돌입
2010-04-09
문진현 기자 jck0869@hanmail.net
문진현 기자 jck0869@hanmail.net
경상남도가 인천시 강화군에서 구제역이 재발생함에 따라 비상체계를 가동했다.
9일 경남도에 따르면 인천시 강화군 선원면 한우 사육농가에서 구제역 의심축에 대한 국립수의과학검역원 검사 결과 9일 구제역으로 최종 판명됨에 따라 도내 유입방지를 위한 비상방역을 추진한다고 밝혔다.
이번 강화지역에서 발생한 구제역은 O형으로서 연초에 발생한 경기도 포천지역 A형과는 역학적으로 관련이 없는 것으로 밝혀졌다.
이에 따라 경남도는 추가 발생한 구제역이 도내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대응조치를 마련하고 전 시군 및 축산진흥연구소에 시달하는 등 비상대책을 마련했다.
이에 따라 경남도는 가축질병 위기대응 매뉴얼에 따라 구제역 위기경보를 ‘관심(Blue)’에서 ‘주의(Yellow)’단계로 격상 발령하고 구제역방역대책본부를 운영하고 24시간 비상체계를 유지하고 있다.
경남도는 관내 소, 돼지, 양, 사슴 등 우제류 가축 사육농가에 대해 1일 전화 예찰과 행정, 농·축협 등 소독방제 차량을 총 동원해 농가주변 및 주요 도로에 대한 소독을 실시하고 혈청검사를 강화해 나갈 방침이다.
또 가축시장, 도축장 등 가축 집합시설에 대한 임상예찰을 강화하고 이동통제 초소 운영, 방역 인력과 물자 등을 사전에 점검한다.
지난 1월 경기도 포천지역 6개 농장에서 발생한 구제역은 발생지역 반경 500m 이내 및 역학 관련 농가 등 총 55농가 5,596마리를 살처분 매몰했으며 피해액은 425억원에 이르는 것으로 추정된다.
경남도 축산과 관계자는 “강화에서 구제역이 다시 발생함에 따라 사육농가에서는 외부인과 외부차량에 대한 차단방역 및 농장 소독을 철저히 해야 한다”면서“다른 지역에서 가축을 구입하거나 입식하는 것을 금지하고 구제역 발생 지역 방문도 자제해야 한다. 구제역으로 의심되는 가축을 발견할 경우 신속하게 신고해 달라”고 당부했다.
9일 경남도에 따르면 인천시 강화군 선원면 한우 사육농가에서 구제역 의심축에 대한 국립수의과학검역원 검사 결과 9일 구제역으로 최종 판명됨에 따라 도내 유입방지를 위한 비상방역을 추진한다고 밝혔다.
이번 강화지역에서 발생한 구제역은 O형으로서 연초에 발생한 경기도 포천지역 A형과는 역학적으로 관련이 없는 것으로 밝혀졌다.
이에 따라 경남도는 추가 발생한 구제역이 도내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대응조치를 마련하고 전 시군 및 축산진흥연구소에 시달하는 등 비상대책을 마련했다.
이에 따라 경남도는 가축질병 위기대응 매뉴얼에 따라 구제역 위기경보를 ‘관심(Blue)’에서 ‘주의(Yellow)’단계로 격상 발령하고 구제역방역대책본부를 운영하고 24시간 비상체계를 유지하고 있다.
경남도는 관내 소, 돼지, 양, 사슴 등 우제류 가축 사육농가에 대해 1일 전화 예찰과 행정, 농·축협 등 소독방제 차량을 총 동원해 농가주변 및 주요 도로에 대한 소독을 실시하고 혈청검사를 강화해 나갈 방침이다.
또 가축시장, 도축장 등 가축 집합시설에 대한 임상예찰을 강화하고 이동통제 초소 운영, 방역 인력과 물자 등을 사전에 점검한다.
지난 1월 경기도 포천지역 6개 농장에서 발생한 구제역은 발생지역 반경 500m 이내 및 역학 관련 농가 등 총 55농가 5,596마리를 살처분 매몰했으며 피해액은 425억원에 이르는 것으로 추정된다.
경남도 축산과 관계자는 “강화에서 구제역이 다시 발생함에 따라 사육농가에서는 외부인과 외부차량에 대한 차단방역 및 농장 소독을 철저히 해야 한다”면서“다른 지역에서 가축을 구입하거나 입식하는 것을 금지하고 구제역 발생 지역 방문도 자제해야 한다. 구제역으로 의심되는 가축을 발견할 경우 신속하게 신고해 달라”고 당부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