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검색
환경부, 범정부적 실내공기질 관리 실천계획 마련 2009-01-31
종합취재부
환경부는 국민이 공감할 수 있는 실내공기질 조성을 통한 국민 건강보호를 위하여 범정부 차원의 실내공기질 관리 중장기(\'09 ∼\'13) 실천계획인 「2차 실내공기질 관리 기본계획」을 수립하였다.

이번 계획은「실내공기질 관리 기본계획」(\'04 ∼\'08)에 이어 환경성 질환 증가 및 기후변화문제 대응 등 그간 변화된 국내·외 여건에 적극 대응하고자 마련하였고, 기획재정부, 교육과학기술부, 보건복지가족부, 국토해양부, 노동부 등 관련부처와 협의를 거쳐 수립하였다.

「1차 기본계획」(\'04 ∼\'08)의 추진에 따른 지난 5년간의 성과를 분석해 보면, 다중이용시설의 실내공기질 폼알데하이드 기준강화(120→100㎍/㎥, \'08.2), 신축공동주택 실내공기질 권고기준 마련(\'05.12) 등 실내공기질 기준 설정 및 관리기반을 마련하였고, 친환경건축자재의 보급을 촉진하였으며 다중이용시설 및 공동주택의 환기설비 설치를 의무화하였다.

「2차 기본계획」은 6대 중점과제를 중심으로 41개 세부과제를 집중적으로 추진해나갈 예정으로서 주요내용을 살펴보면,

① 다중이용시설 관리대상 확대 및 기준 합리화: 영화관 등 대규모 시설은 법적 관리대상에 포함시키고, 개별VOC, 곰팡이 등에 대한 실내공기질 기준을 마련할 계획

② 목질판상제품 오염물질 방출관리: 가구·건축자재의 원자재로, 실내 폼알데하이드의 주요방출원인인 합판·파티클보드와 같은 목질판상제품에 대한 관리체계를 도입

③ 환기설비 관리체계 구축: 적정한 실내공기질 확보를 위해 환기설비 운영·관리 가이드라인을 마련할 계획

④ 저탄소형 실내공기질 관리방법 개발·보급: 실내공기질 관리방안별 에너지사용량/CO2 발생량 분석을 통해 저탄소형실내공기질 관리방안을 개발.보급

⑤ 건강영향이 큰 물질 관리: 석면, 라돈, 미생물, 흡연과 같이 인체에 암을 유발하는 등 건강영향이 큰 물질에
대한 관리체계를 강화할 계획

⑥ 실내공기질 관련 환경성질환 관리: 실내공기 오염과 환경성질환의 상관관계를 규명하고 교육·예방 프로그램 운영 등 환경성질환 관리체계를 수립할 계획.

금번 기본계획이 차질없이 추진되면, 건축자재의 개선, 환기시설의 효율화 등으로 실내공기질이 한층 개선되어 환경성질환의 증가추세가 감소되고, 쾌적한 실내공간이 조성될 것으로 예상된다.

최신 기사

포토뉴스

지역권뉴스

메뉴 닫기

주소를 선택 후 복사하여 사용하세요.

뒤로가기 새로고침 홈으로가기 링크복사 앞으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