허북구 농업칼럼
-
국제남도음식문화큰잔치의 음영
[전남인터넷신문]이달 27일부터 29일까지 목포문화예술회관에서는 제30회 국제남도음식문화큰잔치가 열린다. 전남도는 올해 30주년을 맞은 국제남도음식문화큰잔치에 대해 “국가와 세대를 초월해 모두가 남도음식에 푹 빠지도록 다채로운 프로그램을 진행한다.”라고 밝혔다. 행사 예정 내용을 요약하면 남도 명인 푸드쇼에선 남도 ...
2024-09-27 김승룡
-
비빔밥의 무형문화유산 논란과 농업문화
[전남인터넷신문]최근 중국 길림성(吉林省, 지린성)이 우리나라 전통음식 비빔밥을 성급 ‘무형문화유산’으로 등재된 것에 대해 비판이 일고 있다. 중국 길림성에서는 3년 전(2021년)에 비빔밥 요리법을 ‘조선족의 전통 조리기술(朝鮮族的傳統烹飪技術)’로 칭하고 ‘무형문화유산’으로 등재했다. 이 사실이 이제야 알...
2024-09-26 김승룡
-
베타카로틴 30배, 슈퍼 황금 상추
[전남인터넷신문]카로티노이드 색소 중 하나인 베타카로틴은 균형 잡힌 식단에 필요한 비타민 A의 약 50%를 제공한다. 다양한 질병으로부터 보호하는 천연 항산화제인 베타카로틴이 풍부한 식단은 면역 체계의 적절한 기능을 촉진하여 신체의 자연 방어력을 증가시킨다. 권장량의 베타카로틴을 섭취하면 몸에서 나쁜 콜레스테롤을 제거하여...
2024-09-25 김승룡
-
벼 생산 비용과 수매가
[전남인터넷신문]벼의 본격적인 수확기를 앞두고 낮은 쌀값에 수매 대란 우려가 확산되고 있다. 벼 재배 농가 입장에서 벼 수매가격은 매우 민감한 문제이므로 관심이 뜨거우나 수매가격이 높다고 해서 반드시 좋은 것만은 아니다. 벼 수매가격이 높아 조수익이 많아도 생산비 비중이 매우 높아 순수익이 없게되면 판매 가격이 낮아도 순수...
2024-09-24 김승룡
-
광양농협의 슬기로운 벼 계약 재배 모델
[전남인터넷신문]고물가 시대에 유독 쌀값은 하락세이다. 쌀값 하락 배경에는 쌀소비 감소와 과잉생산이 있다. 정부는 쌀값 안정화를 위해 올해 쌀 초과 생산량에 대해 격리하는 것을 골자로 하는 쌀값 안정 대책을 내놓았다. 정부 대책은 쌀값 불안 심리 해소에 도움이 될 것으로 평가되나 쌀 재고 과잉 심화, 수매가격과 양을 고려하면 파...
2024-09-23 김승룡
-
기록적인 더위와 벼수확 적기
[전남인터넷신문]올해는 늦게까지 무더위가 지속되었다. 고온은 벼의 생육에도 영향을 미쳐 벼의 최종 낙수와 수확시기가 평년보다 빨라질 가능성이 있다. 벼 재배에서 벼의 수확 전 낙수와 수확은 제때에 해야 한다. 낙수란 “논에서 물을 빼는 것”이다. 일반적인 논벼 재배에서 낙수는 재배과정에서 담수와 낙수를 번갈아 가면서 ...
2024-09-20 김승룡
-
나주 생고기 식문화의 과학
[전남인터넷신문]문화(文化)는 일반적으로 한 사회의 주요한 행동 양식이나 상징체계를 말한다. 문화의 범위를 식문화로 좁히면 식재료 종류와 선택하는 방법, 식단의 내용, 조리법, 식기의 선택 방법, 또 누구와 어떻게 먹는지, 먹는 방식, 먹는 매너 등에 이르기까지 많은 것이 포함된다. 지역의 식문화 특징을 찾아내려면 각각의 특징을 도...
2024-09-19 김승룡
-
광양 숯불고기와 나주 생고기
[전남인터넷신문]전라선에 있는 광양에서는 추석 명절을 앞두고 화로에 숯을 준비해 놓은 시골 가정들이 많다. 고향을 찾은 가족 및 친지들과 함께 소고기, 생선 등 고기를 구워 먹기 위해서이다. 화덕과 숯 그리고 석쇠를 준비하는 것은 번거로운 일이지만 고향을 지키고 있는 사람들은 의무처럼 대를 이어서 전통을 지키고 있다. 호남선에 ...
2024-09-14 김승룡
-
두바이 초콜릿과 전남 한과
[전남인터넷신문]독특한 식감과 풍미로 인해 많은 사람들로부터 화제를 모은 '두바이 초콜릿'의 인기가 식지 않고 있다. 유행에 엄청나게 민감한 우리나라에서 특히 유명해진 ‘두바이 초콜릿’은 두바이에 있는 스타트업인 ‘픽스 디저트 쇼콜라티에(Fix Dessert Chocolatier)’라는 회사에서 처음 개발한 것이다 ‘픽스 디...
2024-09-13 김승룡
-
해외 한국식당의 인디카 쌀
[전남인터넷신문]최근 인디카 벼 재배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다. 인디카 쌀(Indica rice)은 전 세계 쌀의 90%를 차지하는 대표적인 쌀 품종이다. 수확량은 많으나 모양이 길쭉하고, 찰기가 없어서 밥알이 흩어진다. 우리나라에서는 찰기가 없는 인디카 쌀보다는 모양새가 둥글고 굵은 단 중립형 쌀로 분류되는 자포니카 쌀(Japonica rice)을 선호하므...
2024-09-12 김승룡
메뉴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