순천소방서 왕조센터장 김경표 겨울이 지나고 봄철이 다가오는 시기가 해빙기이다. 해빙기는 통상 2월 중순부터 4월 초순까지로 겨우내 쌓인 눈과 얼음이 녹아서 땅의 지반이 약화되는 기간을 의미한다. 이때에는 기온이 영하로 떨어지면서 지표면 사이에 남아있던 수분이 얼어붙고 토양이 부풀어 오르는 배부름 현상이 일어난다. 그러나 기온이 높아지면 얼었던 공극수가 녹아내리면서 지반을 약화시키는 등 안전사고로 이어지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해빙기 재난예방을 위해 우리주변에서 다음과 같은 사고발생 위험요소를 살펴봐야 한다. 우리집이나 주변의 대형빌딩, 노후 건축물, 마을앞 교량 등이 균열이나 지반침하로 기울어져 있는지, 축대나 옹벽이 안전한지 다시 한번 살펴야한다. 또한 공사현장이 있는 절개지나 언덕에서 바위나 토사가 흘러내릴 위험이 없는지, 지하굴착 공사장에 추락방지 및 접근 금지 등을 위한 표지판이 있는지, 교량이 기초세굴(洗掘) 지반침하로 붕괴위험이 없는지, 교각에 균열은 없는지 살펴야한다. 만약에 위험요인을 발견시 가까운 행정기관에 신속하게 신고하고 통행금지 또는 사용제한 등의 긴급조치 및 보수·보강 등의 안전조치로 해빙기로 인한 안전사고를 예방해야 한다. 우리 생활주변에서 해빙기에 붕괴 등 위험시설이 있는지 다시 한번 관심을 가지고 살펴보면 해마다 발생한 해빙기 안전사고를 줄일 수 있을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