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메일전송
국산 중형차도 3년만에 ‘반값’
  • 기사등록 2011-11-22 09:00:07
기사수정
 
[전남인터넷신문] 중고차 전문업체 카즈의 11월 잔존가치 조사결과, 2009년 구입한 한국GM의 ‘토스카’의 중고차 가치가 2년 만에 신차의 58%에 도달했다.

통상적으로 국산 중형차가 구입가격의 반값에 거래되기 까지는 4년 이상 걸리는 데 비해 2배에 가까운 속도로, 수입 중고차의 감가율과 비슷한 수준이다.

중고 토스카의 가격하락은 후속 신차 ‘말리부’의 출시 영향을 받았지만, 저조했던 수요도 중요하게 작용했다. 말리부 등장 전인 지난 9월 토스카의 잔존가치는 62%였던 반면, 동일하게 후속모델이 출시 된 ‘NF쏘나타’와 ‘뉴SM5 임프레션’, ‘로체 이노베이션’ 등 동급 중고차는 11월 현재도 65~68%대를 유지하고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토스카의 중고차 몸값이 반값에 가까워진 것은 ‘쉐보레’ 로의 브랜드 교체와 후속 신차의 출시가 기존 수요에 직접적 영향을 미친 것으로 풀이된다.

올해 중고차 시장의 인기모델로 떠오른 소형 ‘뉴프라이드’ 역시 신형 출시로 천정부지였던 중고차 가격이 내리막길로 접어들었다.

지난 달 2009년식 중고 프라이드의 몸값은 신차가격의 77%수준인 930만원이었지만, 신형 프라이드 출시 이후인 11월, 850만원으로 잔존가치는 71%까지 떨어졌다. 이제야 동급 ‘베르나’와 비슷한 수준이다.

반면 신형출시에도 높은 중고차 몸값을 유지하고 있는 모델도 있다. 지난 3월 쉐보레 교체와 함께 단종된 ‘마티즈 크리에이티브’가 그 주인공인데, 후속 ‘스파크’가 출시되어 높은 인기를 얻고 있음에도 2009년식 중고차 기준, 신차대비 75%수준인 840만원에 거래되고 있다.

엠블럼과 외관디자인 일부를 제외하고 변화가 거의 없는 신차라는 점이 알뜰한 중고차 구매소비자의 선호를 얻고 있다.

한편, 조사대상 25개 국산차 중 최저 잔존가치는 쌍용 ‘뉴체어맨H’로 4천2백만원에 가까웠던 신차가 2년이 지난 현재 2천3백만원에 거래되고 있다.

대형세단의 낮은 수요와 브랜드 선호도, 고유가 등이 더해져 신차대비 54%수준의 낮은 잔존가치를 보유하고 있다. 반면 가장 몸값이 높은 모델은 84%의 가치를 뽐내는 ‘쏘렌토R’로, 80%의 ‘투싼ix’와 함께 SUV중고차 파워를 확인케 했다.
0
기사수정

다른 곳에 퍼가실 때는 아래 고유 링크 주소를 출처로 사용해주세요.

http://jnnews.co.kr/news/view.php?idx=63255
기자프로필
프로필이미지
나도 한마디
※ 로그인 후 의견을 등록하시면, 자신의 의견을 관리하실 수 있습니다. 0/1000
확대이미지 영역
  •  기사 이미지 보성군 차(茶)향 물씬 풍기는 초록빛 수채화 풍경
  •  기사 이미지 곡성 곡성세계장미축제 개장
  •  기사 이미지 김이강 서구청장, 부처님오신날 봉축법요식 참석
보성신문 메인 왼쪽 3
모바일 버전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