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메일전송
양성평등의식은 가장 높고, 애국심· 행복감은 증가추세 - 2010 청소년가치관 한·중·일 국제비교 조사 결과
  • 기사등록 2011-03-07 16:36:06
기사수정
여성가족부에서는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에 의뢰하여 2010년 10월부터 11월 두달간 한국, 중국, 일본의 청소년 4,579명을 대상으로 실시한「청소년 가치관 국제비교 조사」결과를 발표했다.

이번 조사는 `07년 한국조사, `08년 한·중·일 국제비교 조사에 이어 `10년 3번째로, 한국은 전국 16개 시·도, 중국은 4개 지역 8개 학교, 일본은 6개 지역 11개 학교 중·고등학생을 대상으로, 가족 및 결혼관, 진로 및 직업관, 학교 및 친구관, 사회 및 국가관, 역사관, 인생관, 다문화의식, 통일의식 등 8개 분야에 걸쳐 실시되었다.
 
각 조사영역별 주요결과를 보면, 가족의 중요도에 있어서는 중국(99.8%), 한국(98.9%), 일본(96.0%)로 3개국이 모두 가족을 중요하다고 생각하고 있었으며, “나는 가족과의 관계가 친밀하다”는 질문 역시 긍정응답률은 3개국(중국 96.7%, 한국 91.8%, 일본 84.2%) 모두 높았으나, “나는 가족과의 생활에 만족한다”는 질문에는 중국(92.6%), 일본(81.1%), 한국(80.3%)순의 응답을 보여 한국의 청소년들이 가족의 중요성이나 친밀감은 높지만 만족도는 상대적으로 낮았다.

결혼비용 부모 의존도는 결혼비용을 부모가 “전혀 부담할 필요가 없다”는 응답이 중국(79.4%), 일본(74.7%), 한국(65.3%)순으로 나타나 3개국 중 가장 높았으나, 우리 청소년이 ‘08년 26.6%에 비하면 38.7%p 높아서 점차 부모 의존률이 낮아지고 있는 추세이다.

남편과 아내의 성역할에 있어서 “남편이 할 일은 돈을 버는 것이고, 아내가 할 일은 가정과 가족을 돌보는 일이다”는 질문에 긍정응답은 일본(57.7%). 중국(35.9%), 한국(28.8%)순으로 한국의 성역할 고정관념이 가장 낮아 양성평등적 가치관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일에 대한 중요도 역시 한국(94.2%), 중국(94.5%), 일본(94.5%)이 모두 94%수준으로 인생에서 일을 중요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나는 분명한 인생목표가 있다”는 중국(88.9%), 한국(68.3%), 일본(54.9%)순으로 한국청소년 10명중 7명은 인생의 목표가 확실한 것으로 나타났고, “내가 희망하는 직업을 미래에 가질 수 있다”는 직업낙관성에 있어서도 중국(97.5%), 한국(80.8%), 일본(55.7%)순으로, 한국의 경우 긍정응답률은 `07년, `08년에 비하여 증가추세를 보였으나, ‘매우 그렇다’는 응답률은 불과 26.8%로 `08년 38.5%에 비해 감소하여 최근 청년실업률 증가, 통계청 ‘사회조사’의 15~24세 취업고민증가 등과 같은 경향을 보여주고 있다.

“학교에서 집단따돌림(왕따)현상은 점점 심해질 것이다” 는 한국이 62.2%로 가장 높았고, 일본(56.7%), 중국(36.0%) 순이었고, 특히, 한국의 ‘전혀 그렇지 않다’ 응답률이 4.5%에 불과, 왕따현상이 심각해질 것으로 나타났고, 중학생보다 고등학생에서 10%이상 높아서 고등학생의 왕따에 대한 부정적 경향이 나타났다.

“우리나라가 위급한 상황이라면 나라를 위해 무엇이든 하겠다”라는 질문에 대해서는 중국(83.7%), 한국(48.0%), 일본(23.9%)순으로 응답했고, 한국의 경우 `07년(38.7%), `08년(45.8%)로 지속적 증가추세를 보였다.

“나는 지금 행복하다”는 문항에 대해 긍정적으로 응답한 청소년은 중국(92.3%), 일본(75.7%), 한국(71.2%)으로 한국청소년의 행복감이 상대적으로 낮았으나, `07년(65.9%), `08년(69.2%)에 비하여 점차 높아지고 있는 추세를 보였고, 여가생활 만족도는 중국(78.0%), 일본(74.7%), 한국(67.5%) 순으로 한국청소년의 여가생활 만족비율이 상대적으로 낮게 나타났다.

청소년의 ‘다문화사회’에 대한 인지수준은 한국(90.7%)이 일본(54.9%), 중국(49.0%)에 비해 가장 높았고, `07년 58.5%, `08년 72.4%로 인지도가 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다문화 청소년을 친구로 맞이할 수 있다” 문항과 “다문화 청 소년이 동등한 사회구성원으로 살아갈 권리가 있다”는 문항에는 중국, 일본, 한국 순으로 나타나, 우리나라 청소년의 다문화 수용도가 인식수준에 비해 낮은 경향을 보여주었다.
0
기사수정

다른 곳에 퍼가실 때는 아래 고유 링크 주소를 출처로 사용해주세요.

http://jnnews.co.kr/news/view.php?idx=50355
기자프로필
프로필이미지
나도 한마디
※ 로그인 후 의견을 등록하시면, 자신의 의견을 관리하실 수 있습니다. 0/1000
확대이미지 영역
  •  기사 이미지 보성군 차(茶)향 물씬 풍기는 초록빛 수채화 풍경
  •  기사 이미지 곡성 곡성세계장미축제 개장
  •  기사 이미지 김이강 서구청장, 부처님오신날 봉축법요식 참석
보성신문 메인 왼쪽 3
모바일 버전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