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엔개발계획(UNDP)이 전 세계 138개국을 대상으로 조사해 발표한 ‘성불평등지수(Gender Inequality Index, GII)'에서 우리나라는 0.310로 138개국 중 20위를 기록했다.
'성불평등지수(GII)’는 UNDP가 올해부터 각 국의 성불평등성을 측정하기 위하여 새로이 도입한 지수로, 기존 여성관련 지수로 발표하던 여성권한척도(GEM)와 남녀평등지수(GDI)를 대체한 것이다.
기존의 남녀평등지수와 여성권한척도가 선진국·엘리트 위주로 지표가 구성되었다는 등 지표 선택의 적절성의 문제가 제기됨에 따라 성불평등지수(GII)가 새로이 도입되었다.
성불평등지수(GII)는 생식 건강(Reproductive health), 여성 권한(Empowerment), 노동 참여(Labour market) 3개 부문에서 모성사망률, 여성의원 비율 등 5개 지표를 통해 성불평등을 측정한다.
우리나라 성불평등지수(GII)를 지표별로 살펴보면, 모성사망률이 14, 청소년 출산율이 5.5, 여성의원 비율 13.7%, 25세 이상 인구 중 중등 이상 교육 받은 여성의 인구는 79.4%(남성 91.7%), 여성의 경제활동참가율은 54.5%(남성 75.6%)이다.
참고로 성불평등지수 12위를 차지한 일본의 경우, 모성사망률이 6, 청소년 출산율이 4.7, 여성의원 비율 12.3%, 25세 이상 인구 중 중등 이상 교육 받은 여성의 인구는 80.0%(남성 82.3%), 여성의 경제활동참가율은 62.1%(85.2%)이다.
한편, 지난해 UNDP가 발표한 우리나라의 GDI와 GEM은 각각 155개국 중 25위와 109개국 중 61위였으며, 올해 10월 중 발표된 세계경제포럼(WEF)이 발표한 우리나라의 성 격차지수(GGI)는 134개국 104위였다.
UNDP, WEF 등 국제기구에서 발표되는 성평등지수를 분석해보면 우리나라는 건강, 교육 등 ‘인간개발’에서의 성불평등에 초점을 맞춘 지표에서는 상위권인 반면, 정치, 경제 등 의사결정에 있어서의 성불평등에 초점을 맞춘 지표에서는 여전히 하위권이다.
이재인 여성가족부 여성정책국장은 “향후 국가 성평등정책의 방향을 의사결정 부문 등 성불평등이 심한 부문의 개선에 우선순위를 두고, 지속적이며 전략적으로 추진해 나가겠다고”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