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메일전송
"40세 이전 조기 폐경 시 복부대동맥류 발생 위험 2배" - 은평성모병원, 한국 여성 139만명 10년간 빅데이터 분석
  • 기사등록 2025-10-13 10:30:43
기사수정

자궁 모형 [연합뉴스TV 제공][전남인터넷신문]40세 이전 조기 폐경 시 '뱃속 시한폭탄'으로 불리며 환자 생명을 위협하는 복부 대동맥류가 발생할 위험이 2배 높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은평성모병원 혈관이식외과 김미형·황정기 교수 연구팀은 2009년 국가검진에 참여한 40세 이상 여성 중 수술로 인한 폐경과 데이터 누락자를 제외한 자연 폐경 여성 139만3천271명을 2019년까지 10년간 추적 관찰해 복부 대동맥류와의 상관 관계를 확인했다고 13일 밝혔다.


복부 대동맥류는 복부 내 가장 큰 혈관인 대동맥이 여러 원인에 의해 탄력을 잃고 약해져 부풀어 오른 상태를 말한다. 보통 혈관의 직경이 정상 대비 50% 이상 늘어난 경우를 칭하는데, 파열되면 사망률이 80% 이상이다.


추적 결과 3천629명(0.26%)이 복부대동맥류 진단을 받았고, 40세 이전 조기 폐경 여성은 55세 이후 폐경 여성보다 복부대동맥류 발생 위험이 23%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 평생 월경 기간이 30년 미만인 여성은 40년 이상인 여성보다 복부대동맥류 발생 위험이 20% 높았다.


즉, 여성 호르몬 노출 기간이 짧을수록 복부대동맥류 발생 위험이 커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65세 이상 연령, 흡연 등 복부대동맥류를 유발하는 위험 요인을 제외하고 '40세 이전 조기 폐경'만 고려했을 때, 조기 폐경 여성의 복부대동맥류 발생률은 0.50%로 40세 이후 폐경 여성(0.26%)보다 약 2배에 달했다.


조기 폐경이 여성의 복부대동맥류의 발생을 증가시키는 독립적이고 특이적인 위험 요인임을 입증한 결과라고 연구팀은 판단했다.


김미형 교수는 "여성 호르몬은 혈관을 보호하는 역할을 하지만 조기 폐경으로 이러한 효과가 사라지면서 복부대동맥류 위험이 커지는 것"이라며 "이번 연구는 조기 폐경이 여성에게 있어 복부대동맥류를 유발하는 독립적 위험 요인임을 규명한 첫 대규모 분석이라는 점에서 의미가 크다"고 밝혔다.


연구 결과는 미국혈관외과학회가 발행하는 국제학술지(Journal of Vascular Surgery)에 게재됐다,

0
기사수정

다른 곳에 퍼가실 때는 아래 고유 링크 주소를 출처로 사용해주세요.

http://jnnews.co.kr/news/view.php?idx=414753
기자프로필
프로필이미지
나도 한마디
※ 로그인 후 의견을 등록하시면, 자신의 의견을 관리하실 수 있습니다. 0/1000
확대이미지 영역
  •  기사 이미지 [포토뉴스] 전남지역 2026년 장애인 권리정책 실천 및 장애인 권리예산 보장 촉구 기자회견
  •  기사 이미지 유네스코 세계자연유산 보성벌교갯벌길 생태걷기대회 발걸음 이어져
  •  기사 이미지 (포토뉴스) 여수해경, 마음안심버스로 ‘직원 마음 건강’ 챙기다
보성신문 메인 왼쪽 3
모바일 버전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