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메일전송
섬진강 두꺼비와 도깨비가 부르는 섬진강별곡 - 10월 23일 개막, 섬진강 생명굿·창극 ‘꺼비와 청이’·도깨비잔치 등 다채… - 자연과 인간, 예술이 함께 깨어나는 강의 축제 - 생명·환경·화합의 메시지 담은 개막공연과 추모 헌정 무대, 가족 참여형 …
  • 기사등록 2025-10-11 10:48:58
  • 수정 2025-10-11 10:52:04
기사수정


전남 곡성의 섬진강변이 예술과 생명의 강으로 다시 깨어난다.

오는 10월 23(개막하는 제23회 섬진강국제실험예술제(SIEAF 2025)는 섬진강별곡(Seomjin River Rhapsody)’을 주제로자연과 인간농촌과 예술의 공존을 탐색한다.

올해 슬로건은 깨어나는 강사유하는 숲으로끊임없이 흐르며 생명을 일으키는 강처럼고요 속에서 사유를 품는 숲처럼 예술이 자연과 인간이 서로를 깨우고 성찰하게 만드는 공존의 언어임을 상징한다.


23일 오전 – 도시에서 농촌으로 흐르는 예술행렬

23일 개막일 오전 10시부터는 도시와 농촌을 잇는 이동형 예술 프로젝트 화이트몹 퍼포먼스가 진행된다서울역을 출발한 퍼포먼스팀이 곡성역에 도착해 섬진강으로 이동플로깅 퍼포먼스팀과 환경단체 푸른곡성21’과 합류한다이들은 환경보존의 중요성을 알리는 선언문 낭송설치미술캠페인 퍼포먼스를 선보이며 섬진강변의 쓰레기 수거 활동을 함께 한다.

이후 카누·카약 퍼포먼스로 섬진강과 대황강이 만나는 압록유원지로 이동해 예술과 환경의 결합이라는 SIEAF의 철학을 실천한다.


오후 – 생명굿과 창극으로 여는 섬진강의 노래

오후 4시 30분부터는 개막식 1부 두꺼비 랩소디가 펼쳐진다.

행위예술가 한영애가 연출하는 섬진강 생명굿 퍼포먼스는 두꺼비와 도깨비를 상징으로 생명의 순환과 대지의 기운을 연주사설대동굿으로 표현한다이어 청강창극단의 창극 꺼비와 청이가 무대에 올라 두꺼비와 심청이의 우정을 통해 인간과 자연의 상생을 노래한다.

굿과 창극이 어우러진 이 장면은 섬진강의 생명성과 곡성의 토속신화를 예술적으로 재해석한 감동의 무대가 될 것이다.


저녁 – 도깨비잔치와 전유성 추모 헌정공연

저녁 7시부터는 개막식 2부 도깨비잔치가 이어진다.

첫 순서로는 2021~2025년 SIEAF 자문위원으로 활동하다 세상을 떠난 전유성을 추모하는

헌정 퍼포먼스가 열린다.

고인과 깊은 인연이 있는 예술가 윤회매 작가로 널리 알려진 다음 작가가 웃음과 예술은 사람을 살린다는 전유성의 철학을 주제로 라이브페인팅과 승무를 결합한 헌정공연을 선보인다.

유머와 예술로 사람들의 마음을 어루만졌던 그의 정신이 섬진강의 밤하늘 아래 예술적 감동으로 다시 피어난다.

이날 무대에는 일본의 부토 아티스트 Temmetsu Toshi, Kouhei Wakaba 등 일본 예술가 8명을 비롯해 태국의 SaiPa FireArts, 한국의 박석주(기타), 로즈박(·행위 퍼포먼스), 최준(피아노), 박세연(판소리), 고근호(도깨비 비주얼등 국내외 예술가 30여 명이 함께한다.

또한 드론 퍼포먼스미디어 영상불의 예술도깨비 댄스파티로 섬진강 일대는 거대한 예술의 장으로 변모할 예정이다.


예술농촌을 다시 깨우다

SIEAF는 도시 중심의 예술이 아닌농촌의 삶과 자연 속에서 살아 숨 쉬는 예술을 지향한다.

예술감독 김백기는 예술은 자연을 닮아야 하며농촌의 현실과 사람들의 삶이 예술이 되는 순간그곳이 곧 무대가 된다고 밝혔다.

또한 곡성군의 대표 행사인 심청어린대축제와 연계한 도깨비 낮장’, ‘동화정원의 동화세상’ 프로그램이 주말에 함께 진행된다.

어린이와 가족이 함께 참여해 예술 속에서 세대와 지역이 연결되는 시간을 갖는다.

섬진강국제실험예술제는 예술을 통해 자연과 농촌이 공존하는 새로운 생태문화를 제시하며,

천혜의 자연을 품은 곡성이 국제적인 예술 담론의 중심지로 성장하고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예술과 자연인간과 공동체가 함께 깨어나는 섬진강별곡의 노래가 올가을 섬진강변을 따라 울려 퍼질 것이다.



행사 개요

● 행사기간: 2025년 10월 23()~10월 27()

● 장소곡성 압록유원지도깨비마을동화정원관음사 일대

● 주요 프로그램

 *공연 프로그램섬진강 두꺼비&도깨비잔치 숲에서 만나는 관음미소섬진강 도깨비낮장동화정원의 동화세상

 *전시 프로그램_ 2024 SIEAF 아카이브전아트상품 전시판매전

 *특별프로그램 화이트몹 퍼포먼스 섬진강 플로깅 퍼포먼스

 *아트 워크숍 
 *세미나

● 주최한국실험예술정신(KoPAS)

● 주관: KoPAS, 섬진강국제실험예술제(SIEAF) 조직위원회
 ● 후원전라남도곡성군

● 협찬풀무원

● 공식 홈페이지www.sieaf.com 

0
기사수정

다른 곳에 퍼가실 때는 아래 고유 링크 주소를 출처로 사용해주세요.

http://jnnews.co.kr/news/view.php?idx=414732
기자프로필
프로필이미지
나도 한마디
※ 로그인 후 의견을 등록하시면, 자신의 의견을 관리하실 수 있습니다. 0/1000
확대이미지 영역
  •  기사 이미지 보성군, 수험생들에게 따뜻한 수능 응원 펼쳐
  •  기사 이미지 보성군 벌교읍 ‘청정전남 으뜸마을’로 붉은 새잎과 황금 들녘 어우러져
  •  기사 이미지 [포토] ‘제3기 만국초청 계시록특강 종강식’
곡성 섹션 하단 배너
모바일 버전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