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메일전송
신안의 항일독립유산 지도 두류단과 바위글씨, 전라남도 문화유산으로 지정
  • 기사등록 2025-08-13 17:10:16
기사수정

 신안군은 항일독립유산인 지도 두류단과 바위글씨가 광복 80주년을 맞아 8월 14일 전라남도 기념물로 지정 고시된다고 밝혔다.


두류단 전경

 신안군 지도읍 감정리 두류산 정상부에 위치한 두류단(頭流壇)은 조선 말기 위정척사 운동과 의병 활동, 그리고 근대 유학의 계승을 보여주는 유적이다. 이곳은 조선 말 대표적인 위정척사 사상가인 중암 김평묵(重庵 金平黙; 1819~1891)이 지도 유배생활 중 후학을 양성하고 위정척사 정신 계승한 장소이다. 또한 면암 최익현(勉庵 崔益鉉; 1833~1906)의 글씨 암각 등이 잘 남아 있어 역사적 ․ 학술적 가치가 높이 평가되었다. 


중암유탁 바위글씨

 두류단은 호남 선비들의 학문과 사상에 큰 영향을 끼쳤던 이항로(李恒老), 기정진(奇正鎭), 김평묵, 최익현과 김평묵의 제자인 지도 출신의 나유영(羅有英) 등 5명의 유학자를 기리기 위해 세운 제단이다. 매년 음력 9월에 지도향교에서 주관하여 제사를 봉행하고 있다.


대명일월 소화강산 바위글씨

 두류단 뒤편 두류산 정상부의 여러 바위에 새겨진 글씨는 최익현이 김평묵 사후 제자 나유영을 통해 위정척사정신을 기리기 위해 새긴 “중암유탁(重庵遺躅)”을 포함하여, “대명일월 소화강산(大明日月 小華江山)”, “주기장예 정일주직(周幾張預 程一朱直)”그리고 중암의 지도 유배시절 제자와 문인들의 이름이 새겨진 “지재여운(智濟餘韻)”등 총 4개소가 있다. 


 김대인 신안군수 권한대행은 “조선 말 열강으로부터 나라를 보호하기 위해 활동하며 항일정신이 남아 있는 지도 두류단과 바위글씨가 이번 광복 80주년을 맞아 항일독립유산으로서 전라남도 문화유산으로 지정되어 우리 군민들의 역사적 자긍심을 고취하였다”라며, “지역민들이 항일독립유산의 중요성을 느낄 수 있도록 체계적으로 보존 및 활용하겠다”라고 밝혔다.


[전남인터넷신문/김철중기자]

0
기사수정

다른 곳에 퍼가실 때는 아래 고유 링크 주소를 출처로 사용해주세요.

http://jnnews.co.kr/news/view.php?idx=411221
기자프로필
프로필이미지
나도 한마디
※ 로그인 후 의견을 등록하시면, 자신의 의견을 관리하실 수 있습니다. 0/1000
확대이미지 영역
  •  기사 이미지 “정남진 장흥 물축제, 역대급 시원함이 쏟아진다”
  •  기사 이미지 “군수님, 어떤 일 하시나요?” 보성여중 학생들, 김철우 보성군수와 소통
  •  기사 이미지 지리산국립공원 멸종위기야생생물 Ⅱ급 ‘대흥란’ 활짝
한국언론사협회 메인 왼쪽 1
모바일 버전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