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메일전송
네이버·다음 웹 검색 점유율 하락 .'구글+MS 빙' 40% 돌파 - 다음은 빙에 3위 자리마저 내줘
  • 기사등록 2024-08-10 08:57:34
기사수정

연합뉴스[전남인터넷신문]국내 웹 검색에서 토종 포털 네이버[035420]와 카카오[035720] '다음'의 점유율이 계속 하락하는 반면, 해외 '빅테크' 구글과 마이크로소프트(MS)의 '빙'의 점유율은 꾸준히 높아지고 있다.


10일 웹로그 분석 사이트 인터넷트렌드에 따르면 지난 7일 기준 국내 웹 검색 시장의 점유율은 네이버가 54.26%로 1위이고 그다음으로 구글(37.61%), 빙(3.83%), 다음(3.14%)이 각각 2∼4위를 차지했다.


구글과 빙의 점유율을 합치면 41.44%다.


구글과 빙의 합산 점유율은 지난달 평균 39.79%를 기록했는데 8월 들어서는 일일 기준으로 계속 40%를 넘었다.


전 세계 검색 시장 약 90%를 장악한 구글은 아직은 '토종'에 밀리고 있는 한국에서도 점유율을 끌어올리고 있다.


실제 지난달 평균 점유율이 36.24%로 작년 7월(34.22%)과 비교해 1년 사이 2.02% 포인트 상승했다.


빙도 지난달 평균 점유율이 3.55%로 다음(3.40%)을 제치고 처음으로 3위로 올라섰다.


작년 7월 2.69%와 비교하면 0.86% 포인트 상승했다.


MS는 지난해 빙에 인공지능(AI) 챗봇을 탑재하면서 검색 시장에서 구글을 위협할 수 있다는 관측이 제기됐다.


포털 사이트 '다음' 포털 사이트 '다음' [다음 제공] 연합뉴스

반면 토종 검색 엔진 네이버와 다음은 웹에서 점유율이 하락세를 보였다.


네이버는 지난달 점유율이 55.58%로 1년 전보다 0.51% 포인트 낮아졌고 다음은 같은 기간 1.12% 포인트나 떨어졌다.


한국은 사회주의권 중국, 러시아와 함께 검색 시장에서 1위를 구글에 내주지 않은 드문 국가다.


그러나 앞으로 세계적으로 검색 시장을 둘러싼 경쟁과 맞물려 토종 업체들이 방심할 수 없는 상황이 닥칠 수 있다.


지난달 챗GPT 개발사 오픈AI는 AI에 기반한 검색 엔진 '서치GPT'(SearchGPT)를 발표했다.


또 최근 미국 법원이 "구글은 시장 지배력을 불법적으로 남용하고 경쟁을 제한했다"고 판결하면서 일각에서는 검색 시장 재편이 이뤄질 수 있다는 전망이 나온다.


한 정보기술(IT) 업계 관계자는 "국내 검색 시장에서 네이버의 탄탄한 입지가 단기간에 흔들리지 않을 것으로 보이지만 점유율 하락 등 상황을 주시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구글 로고구글 로고 : 연합뉴스


0
기사수정

다른 곳에 퍼가실 때는 아래 고유 링크 주소를 출처로 사용해주세요.

http://jnnews.co.kr/news/view.php?idx=382714
기자프로필
프로필이미지
나도 한마디
※ 로그인 후 의견을 등록하시면, 자신의 의견을 관리하실 수 있습니다. 0/1000
확대이미지 영역
  •  기사 이미지 보성 초암정원, 애기동백 꽃길에서 만나는 겨울의 정취
  •  기사 이미지 눈 쌓인 노고단 탐방로 현재 상황?
  •  기사 이미지 김이강 서구청장, 자원회수센터 방문
한국언론사협회 메인 왼쪽 1
모바일 버전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