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사회에서 우리는 다양한 문화생활을 접하게 된다. 특히 자주 이용하는 숙박시설, 일반음식점, 대형마트 등 거의 모든 공간에는 비상구가 존재한다.
비상구는 화재나 지진 등 갑작스러운 사고가 일어났을 때 급히 대피할 수 있도록 마련한 출입구를 말한다. 즉 ‘죽음의 문턱’에서 우리의 안전을 지키는 ‘생명의 문’이다.
화재 발생 시 대부분은 패닉에 빠지며 평상시보다 더 많은 혼란을 겪게 된다. 이런 위기 상황에서 비상구는 인명 대피에 있어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하게 된다.
특히 국민에게 충격을 준 2017년 12월 제천 스포츠센터 화재 사건은 29명의 사망자 중 20명이 비상구가 선반에 막혀 있어 비상구를 찾지 못하고 출입구 부근에서 사망한 채 발견된 사례다.
이를 통해 비상구의 중요성은 여실히 증명됐지만 아직도 일부 영업장은 비상구 등 소방시설 관리가 제대로 되지 않고 있다.
이에 소방서는 지속해서 비상구 실태를 점검하고 있지만 관 주도의 단속만으로 한계가 있어 우리 모두의 관심과 주의가 필요하다.
진도소방서는 비상구를 폐쇄ㆍ훼손하는 등 불법행위에 대해 군민의 자발적인 신고를 유도하고 동시에 적정히 포상함으로써 고질적인 안전 무시 관행을 근절하고자 신고 포상제를 운영하고 있다. 신고포상제는 비상구 확보에 대한 경각심과 안전의식을 확산시켜 화재로 인한 인명피해를 최소화하고자 마련됐다.
불법행위는 ▲비상구 등 피난ㆍ방화시설 폐쇄(잠금장치 포함) 및 훼손 ▲피난ㆍ방화시설 주위에 물건 적치 및 장애물 설치 등 피난ㆍ방화시설 용도에 장애를 주거나 소방 활동에 지장을 주는 행위다.
따라서 시민 여러분이 소방시설 차단, 비상구 폐쇄 등 불법행위를 목격하면 증빙자료(사진, 영상 등)를 첨부해 관할 소방서를 직접 방문하거나 우편. 팩스 등으로 신고하는 생활 속 소방관이 되길 소망해본다.
비상구의 안전이 곧 사랑하는 가족의 안전이고 우리 이웃의 안전임을 잊지 말길 바란다. 화재에 대한 경각심을 갖고 관계인의 적극적인 안전 예방 활동이 함께한다면 더욱더 안전한 내일이 될 수 있을 거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