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메일전송
산업은행, 석유·천연가스에 10.3조원 투자했다. - 민형배 “석탄에 이어 석유·천연가스 투자, 기후악당되지 말아야”
  • 기사등록 2021-10-15 08:28:48
기사수정

[전남인터넷신문/한상일 기자]최근 10년간 산업은행이 석유와 천연가스에 투자한 금액이 10.3조원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석유와 천연가스는 석탄 다음으로 큰 이산화탄소 배출원으로, 산업은행이 이를 무시한 채 투자를 계속하는 것은 정부의 탄소중립 정책에 정면으로 반하는 것이라는 지적이다.

 

국회 정무위원회 민형배 의원(더불어민주당, 광주시 광산구 을)이 산업은행으로부터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2011년부터 2020년까지 최근 10년간 산업은행 석유·천연가스 투자액은 10조 3,1919억원에 달했다. 


지원 방법별로 보면, 대출이 6조 9,769억원으로 전체의 68%, 보증이 3조 3,395억원으로 32%였다. 


에너지원별 투자 현황을 보면, 전체 10.3조원 중 49%인 5조 957억원을 천연가스, 28%인 2조 9,775억원을 석유에 투자했다, 나머지는 석유&천연가스 공동사업인 것으로 집계됐다.

 

2050 탄소중립 선언을 계기로 금융사들의 탈석탄금융선언이 이어지고 있는 가운데, 석탄 대체 에너지원으로 석유와 천연가스가 주목받고 있다. 문제는 석유와 천연가스 또한 화석연료로, 석탄 못지 않게 이산화탄소 배출량이 많다는 점이다. 석탄 산업에 대한 금융투자 수요는 급감한 반면, 석유와 천연가스에 대한 기후위기 위험성은 아직 덜 알려져 여전히 민,관을 포함한 많은 금융사들이 투자하는 상황이다.

 

정부가 2050 탄소중립을 선언하고, 이에 따른 뉴딜펀드 등을 직접 실행하는 산업은행이 석유와 천연가스 탄소배출 영향을 알면서도 정부 보조금 성격인 정책자금을 계속 지원하는 것은 문제가 크다는 지적이다. 산업은행이 석유와 천연가스에 투자한 10.3조원은 같은 기간 석탄에 투자한 7,535억원의 13배가 넘는 금액이다. 민간 은행(국책은행 제외)과 보험사 전체가 석유와 천연가스에 투자한 금액인 19.2조원의 절반을 넘는다.

 

자료를 분석한 민형배 의원은 “석유와 천연가스가 석탄의 대체 에너지원으로 각광받지만 사실상 이들도 석탄 못지 않게 이산화탄소를 배출하는 에너지원“이라며, ”산업은행이 정부자금으로 좌초자산에 계속 투자하는 것은 대한민국의 에너지전환 리스크를 증가시키며, 탄소중립에도 역행하는 행위“라고 지적했다. 또한 ”산업은행이 탄소배출사업에 지속적으로 투자하면서 ‘탄소중립을 선도하는 은행’을 자처하는 것은 그린워싱“이라고 말했다. <끝>

   

[표1] 최근 10년간(2011~) 산업은행의 투자방법별 석유&천연가스 투자현황(억원)


전체

대출

보증

동기간 석탄투자액

10조 3,191억

6조 9,796억(68%)

3조 3,395억(32%)

7,535억


 

[표2] 최근 10년간(2011~) 산업은행의 에너지원별 석유&천연가스 투자현황(억원) 

전체

천연가스

석유

공동사업

기타

10조 3,191억

5조 957억

2조 9,775억

1,650억

2조 810억


0
기사수정

다른 곳에 퍼가실 때는 아래 고유 링크 주소를 출처로 사용해주세요.

http://jnnews.co.kr/news/view.php?idx=312181
기자프로필
프로필이미지
나도 한마디
※ 로그인 후 의견을 등록하시면, 자신의 의견을 관리하실 수 있습니다. 0/1000
확대이미지 영역
  •  기사 이미지 (주)국민, 장학금 기탁
  •  기사 이미지 서구, 골목정원 가꾸기로 ‘함께서구’
  •  기사 이미지 보성군 차(茶)향 물씬 풍기는 초록빛 수채화 풍경
한국언론사협회 메인 왼쪽 1
모바일 버전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