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의원은 올해 과학기술정보방송통신위원회, 국회운영위원회 국정감사에서 날카롭고 치밀한 문제 제기와 구체적인 대안을 제시했다는 평가를 받았다. 특히 지역 불균형 문제를 비롯해 불공정과 부조리한 관행, 안전 불감 문제를 집중적으로 파헤치면서 정부로부터 개선 답변을 이끌어내 외유내강의 면모를 보여주었다.
이 의원은 국감 첫날부터 국가 R&D사업과 5G 서비스 분야에서 지역 격차 문제를 지적했다. 전국 수도권과 대전에 지원이 몰리는 반면, 광주·전남의 R&D사업 지원이 1~2%에 불과한 현실을 짚으며 지역R&D 특별회계 계정 추가를 제안했다.
전국 도시지역과 달리, 5G 기지국 설치 현황에서 전남을 비롯해 서비스 차별을 받는 농어촌의 실태도 고발했다. 이 의원은 국감에서 농어촌지역의 이동통신사 투자 확대와 통신요금 차별 부과를 대안으로 제시했고, 국감 종료 이후에도 시민단체 등 정책 토론회를 개최하며 현실적 개선책을 모색했다.
이밖에 피감기관의 소극 행정·불공정한 관행을 파헤쳤다. 박근혜 정부 시절 단말기 유통법 위반행위 신고센터 개소식을 홍보했지만, 현재까지 개소·운영하지 않은 사실을 밝혀냈다. 소프트웨어산업에서 중소기업 육성을 위해 대기업 참여 제한을 실시하지만, 정작 과기부는 대기업 참여 운영지침을 제정·운영한 점을 지적했다.
이 의원은 “코로나로 인한 국난 상황에서 국민안전과 민생 안정, 국가균형발전 측면에서 국정감사에 임했는데, NGO와 민주당에서 우수의원으로 선정돼 무거운 책임감을 갖게 된다”면서 “현장의 목소리를 의정활동에 적극 반영하고 국민의 눈높이로 사회의 부조리함을 짚고, 공정과 정의가 실현되는 사회를 만들어가는데 노력하겠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