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남인터넷신문/김원유 기자]목포항 100년 미래를 결정할 제4차 항만기본계획이 11월 17일 국무회의에 상정되어 20일 고시된다.
제4차 전국무역항 기본계획은 항만법에 따른 10년 단위 기본계획으로 수립주체는 해양수산부장관이며 계획기간은 2021.~2030.(목표연도)이다.
사업은 기본계획고시, 실시설계, 착공 순으로 100% 국비로 추진되므로, 열악한 재정의 목포시에서는 노후․유휴화된 항만과 그 주변시설을 효과적으로 개발하기 위해 많은 사업이 기본계획에 반영토록 전력을 다하였다.
이번 기본계획에 반영된 목포항의 12개 사업과 5개 추가사업을 부두별로 살펴보면,
목포북항은 ①북항 국가어업지도선 부두확충, ②목포북항 배후단지 진입도로 개설 사업과 ③신조선 건조에 따른 안벽 접안시설 보강, ④소형선박 계류장 중력식 방파제 보강구축, ⑤친해양 열린캠퍼스 구축사업이 반영되어 북항물양장 시설확충을 통하여 수산물 선별작업등 어획물 양육을 위한 작업공간과 부족한 어선접안 시설을 확보하여 수산업 활성화 지원을 통한 어업과 수산업 중심항구로 탈바꿈한다.
추가사업으로 목포신항 남단에 예부선 부두를 신설하여 항내 난립한 예부선의 질서회복과 활동지원을 위해 북항에 정박중인 예부선은 모두 신항 예부선 부두로 옮기며, 해경서부정비창 부두를 신설하여 해군․해경선의 수리조선․정비기능을 확보하고, 조선, 기계 등 배후산업과의 연계 활성화를 도모한다.
목포항은 1897년 우리나라 최초 자주적으로 개항한 해양역사도시였지만 었던 명성이 있었으나, 정치․지역적 논리와 변화된 해운항만환경에 능동적으로 대처하지 못해 항만개발에서 배제되고, 지금은 항만규모가 크게 뒤쳐져 있다.
가까운 과거를 돌이켜 볼 때 목포경제는 선창과 조선경기 영향을 크게 받아 왔으며, 목포의 경제가 가장 왕성했던 때는 부두를 통해 사람, 물자, 생선 등이 활발하게 왕래할 때였으며, 변화된 해운환경(선박의 대형화, 국제카페리․ 연안크루즈 사업 대비 등)에 맞는 항구 인프라 구축이 시급하여 한 이유이다.
김종식 목포시장은 “목포항의 옛 명성을 회복시키기 위해 제4차항만기본계획에 반영된 다수 사업을 예정대로 착착 추진시켜 목포항을 서남권 지역의 핵심산업 지원 항만의 역할을 수행하고 조선산업지원 및 자동차 수출 중심항만으로 발전시키며, 항만 인프라 확충을 통해 친수문화공간 확충과 관광활성화로 항만 부가가치 창출은 물론 지역경제 활성화와 새로운 일자리가 창출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