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메일전송
자운영 파종방법 기술지원 - 경남도농업기술원, 녹비작물 파종시기 홍보
  • 기사등록 2009-09-11 16:34:14
기사수정
경상남도농업기술원(원장 송근우)은 최근 비료를 사용하지 않고 비료 역할을 할 수 있는 자운영 등 녹비작물 파종방법에 대해 기술지원을 실시한다.

경남농업기술원에 따르면 화학비료 사용을 줄이거나 전혀 비료를 사용하지 않고 비료역할을 할 수 있는 자운영 등 녹지작물을 심어 벼농사를 짓는 농법으로 생산한 친환경 쌀이 소비자들의 인기를 끌면서 최근 자운영 재배면적이 꾸준히 증가하고 있다.

자운영을 비롯해 보리 등은 녹비작물로서 제 역할을 충분히 하기 위해서는 파종 시기를 잘 지켜야 월동 후 정상적인 생육이 가능함에 따라 파종방법에 대한 기술지원을 실시하고 있다.

녹비작물 중 재배면적이 가장 많은 것은 자운영으로 종자는 대부분 외국으로부터 수입하고 있으며 지력증진 효과가 뛰어나 농가에서도 선호하고 있다.

자운영 종자 파종은 벼 베기 10~20일 전에 논물을 빼고 벼가 서 있는 상태에서 10a당 5㎏ 정도를 흩어 뿌리면 된다.

파종시기가 너무 이르거나 늦으면 월동 중 동해를 입기 때문에 유의해야 하며 사료작물인 헤어리베치는 자운영보다 약간 늦은 벼 수확 10일 전 10a당 6~9㎏ 정도 뿌리면 적당하다.

너무 일찍 파종을 하게 되면 벼 수확 시 자란 줄기가 잘려나가고 논바닥이 너무 말랐을 경우 벼 수확 후 씨앗을 뿌리고 로터리 작업을 해주면 된다.

보리를 녹비작물로 파종을 할 경우는 동력 살포기를 이용하고 벼가 서 있을 때 파종을 할 때는 10a당 16㎏을 벼 수확 15일 전까지 뿌리고 벼 수확 후 파종을 할 경우는 11월 상순까지 파종을 끝내면 된다.

최근에 자운영만 재배했던 논에서 봄에 많이 발생하는 알팔파바구미나 진딧물 피해가 우려되는 지역에서는 자운영과 맥류, 자운영과 유채, 유채와 맥류 등과 같은 혼합파종은 해충 피해를 줄일 수 있다.

이때 파종 량은 작물별로 각각 단독재배 기준량의 3분의2 정도로 하면 되지만 모든 녹비작물은 파종 시기를 놓쳤을 경우 기준보다 약간 늘여서 파종하는 것이 좋다.

대부분의 녹비작물은 파종 후 발아까지는 논에 물기가 약간 있는 것이 좋지만 겨울을 지나 생육기간 동안에는 습해에 매우 약하기 때문에 녹비작물을 심은 논은 반드시 배수로를 정비해서 생육에 지장을 주지 않도록 해야 한다.
0
기사수정

다른 곳에 퍼가실 때는 아래 고유 링크 주소를 출처로 사용해주세요.

http://jnnews.co.kr/news/view.php?idx=27804
기자프로필
프로필이미지
나도 한마디
※ 로그인 후 의견을 등록하시면, 자신의 의견을 관리하실 수 있습니다. 0/1000
확대이미지 영역
  •  기사 이미지 보성군 차(茶)향 물씬 풍기는 초록빛 수채화 풍경
  •  기사 이미지 곡성 곡성세계장미축제 개장
  •  기사 이미지 김이강 서구청장, 부처님오신날 봉축법요식 참석
가수 전가연 메인센터 2
모바일 버전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