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메일전송
2009 경기문화재연구원 학술토론회 개최 - ‘경기서부 내륙 신석기 시대 취락유적 검토’ 주제
  • 기사등록 2009-08-19 22:24:31
기사수정
경기문화재단(이사장 김문수)이 국내 최초의 대규모 내륙 신석기 취락유적 발굴로 학계의 비상한 관심을 모았던 시흥 능곡 유적의 발굴조사 성과를 종합검토하기 위한 학술토론회를 개최한다.

경기문화재단 경기문화재연구원은 오는 21일(금)부터 22일(토)까지 이틀 동안 경기문화재단 9층 강의실 등에서 ‘경기 서부 내륙 신석기시대 취락유적 검토’를 주제로 학술토론회를 열고 관련 전문가들의 종합적인 견해를 수렴키로 했다고 17일 밝혔다.

수준 높은 발굴조사 보고서 발간을 위해 개최되는 이번 학술토론회에는 신숙정 한강문화재연구원장(현 한국신석기학회장)을 비롯하여 하인수 부산복천박물관장, 원광대학교 안승모 교수(고고미술사학과), 부산대학교 임상택 교수(고고학과), 박준범 한강문화재연구원부원장 등 신석기시대 전문가들이 다수 참여할 예정이다.

경기문화재연구원은 이 토론회를 통하여 유구에 대한 브리핑과 출토유물 관찰 등을 바탕으로 한 심층적인 전문가 고찰을 수렴해 조사 보고서의 완성도를 높일 계획이다. 특히 이번 학술토론회에서는 시흥 능곡 유적뿐 아니라 유사 성격의 용인 농서리 유적까지 함께 고찰함으로써 서해안 내륙지역에서 보이는 신석기 문화의 양상을 정리해보는 계기가 될 것으로 기대된다.

또한 전문적인 신석기시대 연구자들은 물론 관련 분야 연구자와 전공 학생들도 좌담회 형식의 토론에 자유롭게 참여하여 연구자들 간의 폭넓은 교류의 장도 마련될 예정이다.

경기문화재연구원 관계자는 “시흥 능곡 신석기 유적은 해안가가 아닌 내륙 구릉지에서 발견된 국내 최초의 신석기 취락유적으로 의미가 크다”며 “학술토론회의 결과를 적극적으로 수용해 신석기 유적의 중요성 부각은 물론 보고서의 완성도를 높이는 계기를 마련할 것”이라고 말했다.

한편 시흥 능곡 선사유적은 경기문화재단 기전문화재연구원(현 경기문화재연구원)이 지난 2004년 10월부터 2007년 7월까지 발굴조사를 벌여 신석기시대 주거지 24기, 청동기시대 주거지 6기, 수혈유구 2기, 석실묘 등 기타유구 141기를 발굴했다.
0
기사수정

다른 곳에 퍼가실 때는 아래 고유 링크 주소를 출처로 사용해주세요.

http://jnnews.co.kr/news/view.php?idx=26596
기자프로필
프로필이미지
나도 한마디
※ 로그인 후 의견을 등록하시면, 자신의 의견을 관리하실 수 있습니다. 0/1000
확대이미지 영역
  •  기사 이미지 전남선관위, 목포해상케이블카에서 유권자를 만나다
  •  기사 이미지 보성군, ‘녹차몬’과 함께하는 제48회 보성다향대축제 이모저모
  •  기사 이미지 보성군, 득량만과 맞닿은 일림산 철쭉 만개, 연분홍빛 꽃물결 장관
가수 전가연 메인센터 2
모바일 버전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