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메일전송
광복절 노래 가사와 의미
  • 기사등록 2017-08-14 08:06:03
기사수정


[전남인터넷신문]

1절

 

흙 다시 만져보자 바닷물도 춤을 춘다

기어이 보시려던 어른님 벗님 어찌하리

이날이 사십년 뜨거운 피 엉긴 자취니

길이길이 지키세 길이길이 지키세

 

2절

 

꿈엔들 잊을건가 지난날을 잊을건가

다같이 복을 심어 잘가꿔 길러 하늘 닿게

세계에 보람될 거룩한 빛 예서 나리니

함께 힘써 나가세 함께 힘써 나가세. 

 

제72주년 광복절을 맞이한다.하지만 광복절 노래를 아는 젊은층은 거의 없는 것으로 알려지고 있어 광복절 기념 행사에서 다시한번 우렁차게 온 나라에 울려 퍼질수 있도록 각성과 교육이 필요할 때다.

 

[광복절 의미]

1949년 10월 1일 제정된「국경일에 관한 법률」에 의거, 광복절이 국경일로 제정되었다. 이 날은 경축행사를 전국적으로 거행하는데 중앙경축식은 서울에서, 지방경축행사는 각 시.도 단위별로 거행한다.

 

이 날의 의의를 고양하고자 전국의 모든 가정은 국기를 게양하여 경축하며, 정부는 이 날 저녁에 각계각층의 인사와 외교사절을 초청하여 경축연회를 베푼다.

 

광복회원을 위한 우대조치의 하나로, 광복회원 및 동반가족에 대하여 전국의 철도.시내버스 및 수도권전철의 무임승차와 고궁 및 공원에 무료입장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노래 작곡 작사]

작사가 정인보(1893∼1950)는 서울 출생으로 1910년 중국으로 망명하여 박은식, 신채호 등과 독립운동을 전개하였고 귀국하여 연희전문학교, 이화전문학교 등에서 교육자로 활동하였다.

 

실학을 기초로 한 국학의 개념을 정립하였고 민족사관의 확립에 주력하였다. 저서로 『조선사 연구』,『담원 시조집』 등이 있다.

 

작곡가 윤용하(1922∼1965)는 황해도 은율 출생으로 박태현, 이흥렬 등과 함께 음악가협회를 통하여 음악운동을 전개하였고 가곡 「보리밭」과 동요 「나뭇잎 배」 등을 작곡하였다.

0
기사수정

다른 곳에 퍼가실 때는 아래 고유 링크 주소를 출처로 사용해주세요.

http://jnnews.co.kr/news/view.php?idx=207003
기자프로필
프로필이미지
나도 한마디
※ 로그인 후 의견을 등록하시면, 자신의 의견을 관리하실 수 있습니다. 0/1000
확대이미지 영역
  •  기사 이미지 (주)국민, 장학금 기탁
  •  기사 이미지 서구, 골목정원 가꾸기로 ‘함께서구’
  •  기사 이미지 보성군 차(茶)향 물씬 풍기는 초록빛 수채화 풍경
한국언론사협회 메인 왼쪽 1
모바일 버전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