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메일전송
소상공인일자리위원회, 현실 고려한 일자리 창출 정책 수립에 나선다. - ‘새정부의 일자리 정책 관련 설문조사’ 결과 발표 - 응답자의 83.2%, ‘종업원 감원이나 폐업으로 대응할 것’
  • 기사등록 2017-06-27 17:49:48
기사수정


[전남인터넷신문/임철환 기자] 소상공인연합회(회장 최승재)는 27일, 소상공인연합회 산하 ‘소상공인일자리위원회’ 1차 회의를 경기도 수원 소재 경기도경제과학진흥원 회의실에서 개최했다.

 

‘소상공인일자리위원회’는 지난 16일, 소상공인연합회 정기 이사회에서 의결되어 설립되었으며, 소상공인의 시각으로, 소상공인 분야의 일자리를 창출 할 수 있는 효율적인 방안을 논의하여 정책화하는 컨트롤 타워의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이날 위원회는 연합회 소속 단체 대표 등 9인을 위원으로 위촉하고, 소상공인연합회 최승재 회장을 위원장으로 추대하여 현안을 논의했다.

 

(위원장- 소상공인연합회 최승재 회장, 위원명단 - 한국주유소협회 김문식 회장, 한국차양산업협회 권오금 회장, 소상공인연합회 민상헌 부회장, 대한안경사협회 김영필 회장, 한국컴퓨터소프트웨어판매업협동조합 김대준 이사장, 전국보일러설비협회 문쾌출 회장, 대한제과협회 홍종흔 회장, 한국인터넷콘텐츠서비스협동조합 최윤식 이사장) 

 

위원회는 최근 중소기업중앙회가 제기한 ‘중소기업 일자리위원회’에는 참여하지 않기로 결정했다.

 

위원회는 “‘중소기업 일자리 10만개 창출’ 등의 취지에는 충분히 공감하나, 우리나라 전체 일자리의 40%를 차지하고 있는 소상공인들의 역량이 제대로 발휘할 수 있도록 지원·육성 정책이 선결적으로 추진되어야 제대로 된 일자리 창출이 가능할 것” 이라고 의견을 모았다.

 

특히, 이날 위원으로 참석한 한국주유소협회 김문식 회장이 제시한 ‘주유소 등록 및 거래상황 기록부 확인업무’ 등 공공부문 일반관리 업무 민간위탁 등을 통한 주유소 업계 준공공일자리 창출 등의 방안에 대해 참석자들은 공감을 표하고, 이와 같은 방안 등을 포함하여 수많은 일자리를 창출할 수 있도록 소상공인의 특성을 고려한 세밀한 일자리 대책을 독자적으로 추진키로 결의했다.

 

한편, 이날 회의에서는 ‘새정부 일자리 정책 및 최저임금관련 설문조사’ 결과가 발표됐다.

 

이번 실태조사는 소상공인연합회가 6월 12일부터 2주간에 걸쳐 외식업, 도소매업, 개인서비스업 등 다양한 업종에 걸친 소상공인연합회 회원 및 단체 회원과 일반 소상공인 사업주 총 351명을 대상으로 오프라인 설문지 응답, 온라인 설문참여 등의 방법으로 실시됐다.

 

응답자들은 현재 최저임금인 6,470원에 대해 72.5%가 ‘부담을 느낀다’고 밝혔으며, ‘최저임금 1만원 인상 시 수익감소 예상분’을 묻는 설문에는 ‘5~10% 감소’라고 응답한 비율은 11.2%에 지나지 않은데에 비해, ‘10~40%이상 감소할 것’이라고 답한 응답자가 88.8%에 달해 소상공인들은 최저임금 1만원 인상시 ‘소상공인 업종에 큰 타격이 올 것’이라고 예측하는 것으로 드러났다.

 

또한 ‘중소상공인에게 가장 부담이 된다고 생각하는 현 정부의 일자리 정책’을 묻는 설문에 응답자의 76.4%(240명)이 ‘최저임금 1만원인상’이라고 응답하였으며, 전체 응답자의 67.1%는 최저임금 인상으로 ‘경영애로’(38.9%, 124명)와 ‘고용 위축’(28.2%,90명)을 우려했다.

 

‘소상공인의 부담을 완화하기 위한 정부정책’을 묻는 설문에는 응답자의 46.8%(146명)가 ‘영세 자영업자에게 최저임금 상승분에 대한 정부지원’이 가장 적합하다고 답했다.

 

소상공인들은 최저임금 상승으로 인한 경영환경 악화 시 대처방안으로 34.8%가(110명) ‘1인 및 가족경영’을 대책으로 응답하였고, ‘종업원 감축’ 29.4%(93명), ‘페업’ 19%(60명) 순으로 대책을 강구하는 것으로 드러나 응답자의 83.2%가 악화된 경영환경에 ‘종업원 감원’이나 ‘폐업’ 등으로 대응하겠다고 밝혀 일자리 문제의 악화가 예상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제품가격 인상 등을 통해 고용을 유지하겠다는 응답자는 13.9%(44명)에 불과했다.

 

근로시간 단축과 관련해서는 응답자들의 69.3%(219명)가 ‘근로시간을 52시간으로 단축할 경우, 추가고용 인원부담 및 영업 환경악화가 염려 된다’고 응답했으며, 이에 대한 적절한 정부지원책을 묻는 설문에는 92.2%(308명)이 ‘청년 2명 고용 시, 청년 1명에 대한 임금을 정부가 지원하는 방식의 소상공인 업종 확대 실시’를 들었다.

 

소상공인일자리위원회는 이와 같은 결과를 바탕으로 실질적인 소상공인 일자리 대책을 정부당국에 요구하고, 효율적인 소상공인 일자리 대책 수립에 나선다는 계획이다.

 

소상공인연합회 최승재 회장은 “소상공인 분야의 일자리는 실업과 은퇴, 고령화 등으로 소상공인 업종으로 내몰린 서민들을 위한 ‘사회안전망의 최후 보루’”라고 말하고, “긴밀한 민·관 협조 체계를 구축하고 소상공인들의 창의성을 더한다면 생계형 업종인 소상공인 업종에서 다양한, 수많은 일자리를 의미있게 창출 할 수 있다”고 강조했다.  

0
기사수정

다른 곳에 퍼가실 때는 아래 고유 링크 주소를 출처로 사용해주세요.

http://jnnews.co.kr/news/view.php?idx=202648
기자프로필
프로필이미지
나도 한마디
※ 로그인 후 의견을 등록하시면, 자신의 의견을 관리하실 수 있습니다. 0/1000
확대이미지 영역
  •  기사 이미지 서구, 골목정원 가꾸기로 ‘함께서구’
  •  기사 이미지 보성군 차(茶)향 물씬 풍기는 초록빛 수채화 풍경
  •  기사 이미지 곡성 곡성세계장미축제 개장
한국언론사협회 메인 왼쪽 1
모바일 버전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