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메일전송
대학 졸업 구직자 10명 중 3명, 학력 낮춰 입사지원
  • 기사등록 2015-06-18 08:23:25
기사수정
[전남인터넷신문]최근 발표에 따르면 지난해 대졸 실업률이 9.6%로 고졸(8.9%)보다도 높게 집계됐다. 극심한 학력 인플레로 대학을 나온 구직자들이 매년 쏟아져 나오고 있지만 취업에는 어려움을 겪는 것이다. 이에 대학 진학자 10명 중 3명은 구직활동 시 본인의 학력보다 낮은 조건인 곳에 입사지원을 한 것으로 조사되었다.

온라인 취업포털 사람인(www.saramin.co.kr 대표 이정근)이 대학 진학자 3,373명을 대상으로 ‘본인의 학력보다 낮은 조건의 채용에 입사 지원한 경험’을 조사한 결과, 29.8%가 ‘있다’라고 답했다.

학력에 따라서는 ‘대학원 이상’(32.9%), ‘4년제 대학’(30.1%), ‘전문대학’(26.6%) 순으로 응답률이 높았다.

또, 이들 중 41.2%는 입사지원 하면서 학력을 숨긴 경험이 있다고 밝혔다.

처음 학력을 낮춰 지원하기 시작한 것은 구직활동을 시작한지 평균 7개월이 지난 후부터인 것으로 집계되었다.

본인 학력보다 낮은 곳에 입사 지원한 이유로는 ‘취업 확률이 높을 것 같아서’(45.1%, 복수응답)를 첫 번째로 꼽았고, ‘빨리 취업하고 싶어서’(40.6%)가 바로 뒤를 이었다. 이밖에 ‘학력 외 다른 스펙이 낮아서’(26.7%), ‘지원할 공고가 별로 없어서’(26.7%), ‘학력에 맞추면 경쟁률이 너무 높아서’(23.6%) 등의 응답이 있었다.

하지만, 절반 이상(53.7%)은 학력을 낮추고도 서류통과에 별반 차이가 없었다고 답했다.

그렇다면, 학력을 낮춰 취업했을 때의 회사생활 만족도는 어떨까?
최종 합격 경험이 있는 응답자(548명) 중 68.6%가 회사생활에 불만족한다고 답변했다.

그 이유로는 ‘연봉이 너무 낮아서’(61.2%, 복수응답), ‘단순 업무를 하고 있어서’(40.4%), ‘일에서 보람을 느끼지 못해서’(39.9%), ‘배운 지식을 활용하지 못해 아까워서’(32.4%) 등을 들었다.

한편, 우리 사회의 학력 인플레 과열 수준에 대해 전체 응답자의 76%가 ‘심각한 수준’이라고 답했다.
0
기사수정

다른 곳에 퍼가실 때는 아래 고유 링크 주소를 출처로 사용해주세요.

http://jnnews.co.kr/news/view.php?idx=144770
기자프로필
프로필이미지
나도 한마디
※ 로그인 후 의견을 등록하시면, 자신의 의견을 관리하실 수 있습니다. 0/1000
확대이미지 영역
  •  기사 이미지 (주)국민, 장학금 기탁
  •  기사 이미지 서구, 골목정원 가꾸기로 ‘함께서구’
  •  기사 이미지 보성군 차(茶)향 물씬 풍기는 초록빛 수채화 풍경
한국언론사협회 메인 왼쪽 1
모바일 버전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