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메일전송
환경부, 기상청과 협업 미세먼지 예보정확도 뚝 떨어져 - 미세먼지 예보정확도, 황사발생시 62.5%↓내일예보 55%↓
  • 기사등록 2015-04-26 17:07:18
기사수정

[전남인터넷신문/김철중]미세먼지와 황사 등 대기오염도에 대한 예보의 정확도를 높이고자 지난 2014년 5월부터 환경부와 기상청의 협업하여 대기질 통합예보센터를 설치했지만, 황사가 발생했을 때 오히려 미세먼지 예보정확도가 떨어져 논란이 일고 있다.

 

국회 환경노동위원회 소속 새누리당 주영순의원은 26일, 환경부로부터 제출받은 미세먼지 예보결과를 분석한 결과 올해 1월부터 4월 20일까지 미세먼지 예보정확도는 88.7%지만, 황사발생시 예보정확도는 큰 폭으로 감소한 62.5%, 내일예보는 더 떨어진 55%수준이라고 밝혔다.

 

황사발생시 지역별 미세먼지 정확도를 구분하면 강원 영동이 23.8%로 가장 낮았고 뒤를 이어 제주(48.8%)와 서울(54.8%)순이었다. 내일예보 역시 강원 영동이 28.6%로 가장 심각했고 뒤를 이어 서울(46.4%), 경기 남부(46.4%) 순이다.

 

대기질 통합예보센터는 기상청의 황사팀과 국립환경과학원의 미세먼지팀이 협업하고 있는데, 황사가 올 때 황사의 강도와 범위, 유입, 지속시간 등을 서로 정보교환을 해서 미세먼지 예보에 황사정보를 반영하여 예보를 하고 있다.

 

주영순의원은 “협업을 통해 신속하고 정확한 예보정보가 국민들에게 전달해야함에도 불구하고 오히려 잘못된 정보로 국민들은 황사가 섞인 미세먼지에 무방비로 노출되고 있다”며 “말로만 협업하지 말고, 다양한 관측자료를 상호 공유하고 정밀한 분석을 통해 예보정확도를 높여야 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한편 주영순의원은 지난 23일 국회 환경노동위원회 기상청 업무보고에서, 기상청의 올해 황사예보정확도가 50%에 그쳤다며 10년간 오히려 퇴보하고 있다고 질타한바 있다.

 

갈수록 낮아지는 기상청의 황사예보정확도로 인해 미세먼지 예보 또한 황사발생 시에 대응을 하지 못하고 있다는 지적이 나온다.

0
기사수정

다른 곳에 퍼가실 때는 아래 고유 링크 주소를 출처로 사용해주세요.

http://jnnews.co.kr/news/view.php?idx=141976
기자프로필
프로필이미지
나도 한마디
※ 로그인 후 의견을 등록하시면, 자신의 의견을 관리하실 수 있습니다. 0/1000
확대이미지 영역
  •  기사 이미지 전남선관위, 목포해상케이블카에서 유권자를 만나다
  •  기사 이미지 보성군, ‘녹차몬’과 함께하는 제48회 보성다향대축제 이모저모
  •  기사 이미지 보성군, 득량만과 맞닿은 일림산 철쭉 만개, 연분홍빛 꽃물결 장관
한국언론사협회 메인 왼쪽 1
모바일 버전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