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회 환경노동위원회 소속 새누리당 주영순의원은 23일 기상청으로부터 황사 예보정확도 현황을 제출받아 분석한 결과, 지난 2010년 71.1%였던 황사예보정확도가 점점 낮아져 급기야 올해 예보정확도는 고작 50%라고 밝혔다.
더구나 지난 2012년 전국평균 1.9일이었던 황사발생일수는 올해 8.4일로 3년 사이 무려 4.4배나 더 많이 발생하고 있었지만 예보정확도는 개선되지 않고 있다.
기상청은 최근 10년 동안 황사관측망 운영, 동북아 황사네트워크 구축, 황사 통합예측 모델 개선 연구 등 장비와 연구개발을 이유로 145억의 국민혈세를 투입했지만 10년 전 황사예보정확도는 56.5%로 오히려 올해보다 정확도가 높았다.
주영순의원은 “오보로 얼룩진 황사예보는 국민혈세를 잡아먹는 하마가 돼버렸다”며 “수십년간 황사를 예보한 기상청보다 2년 남짓 미세먼지 예보를 한 환경과학원의 정확도가 높다는 것은 기상청이 반성해야 할 일”이라고 꼬집었다.
이어 주의원은 “국민 건강과 직결되는 미세먼지에 대한 경각심이 높아지면서 환경부의 미세먼지와 기상청의 황사예보의 정확도 개선이 절실하다”고 강조했다.
<</span>최근 10년간 황사예보 정확도 현황>
(단위 : %)
구분 |
2005년 |
2006년 |
2007년 |
2008년 |
2009년 |
2010년 |
2011년 |
2012년 |
2013년 |
2014년 |
2015. 3 |
정확도 |
56.5 |
67.1 |
56.0 |
62.8 |
66.2 |
71.1 |
64.5 |
42.3 |
64.0 |
60.6 |
50 |
<</span>최근 10년간 황사관련 예산투입현황>
구분 |
사 업 | ||
황사관측망 운영 |
황사관련 연구개발 |
계 | |
예산 |
36억 6,100만원 |
108억 4,200만원 |
145억 3백만원 |
<</span>최근 3년간 전국 평균 황사발생일수 현황>
구분 |
2012년 |
2013년 |
2014년 |
2015년 3월 |
평균 발생일수 |
1.7일 |
1.9일 |
7.6일 |
8.4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