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메일전송
독자투고)최근10년간 태풍에 의한 재산피해액 10조 5780억원! - 벌교119안전센터 소방교 류제문
  • 기사등록 2008-07-02 11:30:00
기사수정
 
다가오는 태풍 미리 미리 대비하자

우리나라는 사계절이 뚜렷하여 계절이 해년마다 반복된다. 봄이 가면 여름이 오고 여름철에는 어김없이 장마가 오고 태풍이 온다. 태풍은 가뭄을 해갈시키고 해수를 뒤섞어 정화시키는 긍정적 효과도 가져오지만 일반적으로 집중호우와 폭풍을 동반하여 인류가 겪는 자연재해 중 가장 인명과 재산에 큰 피해를 주는 것 가운데 하나이다.우리나라도 태풍에서 자유롭지 않은 지역이여서 매년 인명 및 재산피해가 엄청나게 발생하고 있다.

태풍이란 중심 최대풍속이 17m/s 이상의 폭풍우를 동반하는 열대저기압을 가리키는 것으로 북태평양 남서부에서 발생하여 아시아 동부로 불어온다. 세계기상기구(WMO)는 최대풍속에 따라 태풍을 4등급(약,중,강,매우강)으로 분류하며, 열대성폭풍부터 태풍의 이름을 붙이는데, 한국과 일본은 열대성폭풍 이상을 태풍이라고 하며 1953년부터 매년 발생순서에 따라 일련번호를 붙여서 ‘제 n호’ 태풍이라고 부르게 되었다.

올해 제1호 태풍(너구리)은 지난 4월 15일 오후 3시경 필리핀 마닐라 남서쪽 약670km부근 해상에서 발생하였으며 평균(지난30년간) 태풍 발생 수는 약 26.7개로서 이중 3~4개 정도가 우리나라에 영향을 주고 있다. 2007년에는 24개가 발생하여 평년 26.7개보다 적었다. 월별 발생 빈도를 보면, 6~8월(7개)은 평년(11.2개) 보다 적었으나, 9~11월(15개)은 평년(11.4개) 보다 많이 발생하였고 이중 3개 태풍(4호 마니, 5호 우사기, 11호 나리)이 .직접 우리나라에 영향을 주었다.

태풍으로 인한 피해를 크게 구분하자면 강풍과 저기압, 강수에 의한 직접적인 피해와 해일 ·홍수 등에 의한 간접적인 피해로 구분할 수 있다. 바람에 의한 피해는 나무를 부러뜨리고 건축물을 파괴하는 등 풍속에 따라 그 피해 정도가 다르다. 또 태풍의 눈이 통과하는 시간은 보통 수분에서 1시간 정도로, 강한 바람이 불지 않지만 뒤이어 접근하는 태풍벽의 강풍에 의해 더 큰 피해를 볼 수도 있다. 또한 태풍에 의한 엄청난 강수는 토양을 침식시키고 산사태를 일으키며, 강과 호수를 범람시켜 홍수를 유발하기도 한다.

소방방재청이 2일 한나라당 재해예방대책팀 김태원 의원(경기 고양 덕양을)에게 제출한 자료에 따르면 지난 10년간 발생한 자연재해로 모두 19조 7011억원 상당의 재산피해가 있었으며, 이 중 태풍에 의한 재산피해액이 10조 5780억원(53.7%)으로 전체의 절반을 넘었다. 호우로 인한 재산피해액은 5조 6620억원(28.7%), 호우 및 태풍 1조3천10억원(6.6%), 대설 1조2천362억원(6.3%), 폭풍설 8천443억원(4.3%) 등의 순으로 조사됐다.월별로는 한 여름철인 8월에 인명 및 재산피해가 집중, 연중 자연재해 피해규모가 가장 컸던 것으로 조사됐다.

연도별로는 태풍 ‘루사’가 발생한 2002년 6조 1152억원으로 피해액이 가장 많았고, 태풍 ‘매미’가 강타한 2003년의 피해액이 4조 4081억원으로 뒤를 이었다.

전 세계적으로 기상이변이 자주 발생하고 있고 태풍으로 인한 재해도 계속 증가 추세에 있는 현 상황에서 기상청은 태풍 발생시부터 1일 2회 태풍정보를 생산하며 태풍의 현재 실황과 72시간 후까지의 진로와 강도에 대한 예보를 발표하고 있다.

태풍이 접근하여 태풍경보가 발표되면 다음과 같은 사항에 유의할 필요가 있다. ① 주의보 또는 경보를 자세히 청취할 것, ② 축대나 담장이 무너질 염려가 없는지 바람에 날아갈 물건은 없는지 다시 한 번 확인할 것, ③ 창문이나 지붕 등 비 ·바람에 의해서 손상될 염려가 있는 것은 잘 손질해 둘 것, ④ 강가에 거주할 경우에는 홍수에 대비하여 언제든지 대피할 수 있도록 비상식량과 필요한 용구 등을 챙겨놓을 것, ⑤ 산 밑에 거주할 경우에는 산사태에 대비하며 수시로 상황을 살펴서 미리 대피하도록 할 것, ⑥ 해안가에 거주할 경우에는 폭풍해일에 대비할 것 등이다.

올여름에도 2~3개(평균 2.5개)의 태풍이 우리나라에 영향을 미칠 것으로 전망된다.매년 심각한 인적,물적피해가 발생해 오고 있는 사실을 유념하여 철저한 대비로 피해를 최소한으로 줄이도록 노력해야한다.
0
기사수정

다른 곳에 퍼가실 때는 아래 고유 링크 주소를 출처로 사용해주세요.

http://jnnews.co.kr/news/view.php?idx=9321
기자프로필
프로필이미지
나도 한마디
※ 로그인 후 의견을 등록하시면, 자신의 의견을 관리하실 수 있습니다. 0/1000
확대이미지 영역
  •  기사 이미지 강진 보랏빛 코끼리마늘꽃 세상 놀러오세요
  •  기사 이미지 ‘2024 부산모빌리티쇼’ 부산국제모터쇼의 새로운 시작이 되다.
  •  기사 이미지 서구 오연호 오마이뉴스 대표 초청 아카데미
한국언론사협회 메인 왼쪽 1
모바일 버전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