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남인터넷신문]도시재생사업 구조가 점차 간소화되고 지역 고유자원 활용을 강조하는 방향으로 재편됨에 따라, 전남은 풍부한 역사·문화, 생태 자원을 활용해 도시브랜드를 확립하고, 새롭게 도입된 뉴빌리지사업을 적극 활용해 지속가능한 도시 기반을 조성해야 한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전남연구원(원장 김영선)은 23일 「JNI 이슈리포트」 ‘도시재생사업 변화에 따른 2025년 전라남도 대응 방안’을 통해 도시재생사업 동향과 가이드라인을 분석하고, 정책 기조의 변화를 주민 삶의 질 향상과 정주여건 개선의 기회로 활용한 전남의 대응 방안을 제시했다.
리포트에 따르면, 도시재생사업은 2024년부터 「국가시범지구」, 「지역특화재생」, 「도시재생 인정사업」, 「우리동네살리기」 등 4가지 유형으로 통합되었으며, 기존의 사업예산을 재편성해 노후 주거지 개선과 생활 기반시설 확충을 위한 「뉴빌리지」 사업을 신설했다.
전남 도시재생사업지의 선정 현황을 살펴보면, 2014년부터 2023년까지 전국 총 591개소 중 53개소가 선정되어 현재 9개소의 사업을 완료했으며, 2024년 하반기에는 지역특화재생 1개소(장성), 뉴빌리지사업 4개소(광양, 담양, 장흥, 강진)가 추가됐다.
2024년부터 도시재생사업의 공모 절차가 강화되고, 신규 사업지 선정 규모가 축소되면서, 전남은 선택과 집중을 통한 전략적인 도시재생사업 추진이 중요하며, 지역의 역사, 문화 등 고유자원을 활용한 스토리텔링 강화와 도시 브랜드화를 통한 경제적 가치 창출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또한, 민간 자본을 활용한 민관 협력형 리츠(REITs) 도입도 중요한 과제로 제시했다. 민관 협력형 리츠는 공공과 민간이 협력해 도시재생 프로젝트를 기획, 실행함으로써 창의적이고 혁신적인 도시재생 모델을 발굴할 수 있는 도시재생사업이다.
최우람 전남연구원 책임연구위원과 황유경 전남도시재생지원센터 전문연구원은 “도시재생사업은 도시 쇠퇴지역 전체가 대상인 거시적 관점에서, 뉴빌리지사업은 소규모 노후 저층 주거지가 대상인 미시적 관점에서 접근하기 때문에 양 사업 간 상호보완이 필요하다”며, “전남은 도시재생사업과 뉴빌리지사업에 대한 통합적 접근을 통해 주민 삶의 질 향상과 지역경제 활성화를 동시에 추진해 지속가능한 발전을 이끌어내야 한다”고 제언했다.
다른 곳에 퍼가실 때는 아래 고유 링크 주소를 출처로 사용해주세요.
http://jnnews.co.kr/news/view.php?idx=396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