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메일전송
배달노동자 '극한체험' - 폭염에 숨 턱턱 "체감온도 40∼50도" - 쉼터는 서울 25개구 중 9개구에만 ,그나마 대부분 주말엔 문 닫아 - "구마다 쉼터 1개는 있었으면" .배달플랫폼에 책임 촉구 목소리도
  • 기사등록 2024-06-22 10:33:41
기사수정

배달 오토바이에 올라탄 김정훈 배달플랫폼노조 배민분과장 : 연합뉴스[전남인터넷신문]오토바이에 올라탄 지 1분도 채 되지 않아 이마와 등에 땀이 맺혔다. 5분이 지나자 팔오금에서 땀이 흐르는 것이 느껴졌다.


한껏 달궈진 배달통은 계속 등에 닿아 뜨거웠고 신호나 차량정체로 멈춰 설 때마다 그늘 하나 없는 도로 한복판에서 내리쬐는 햇빛을 온몸으로 맞닥뜨려야 했다.


오토바이 앞에 시내버스라도 설 때면 커다란 차가 뿜어내는 열기와 배기가스가 얼굴을 덮쳐 숨이 턱턱 막혔다.


서울의 낮 최고기온이 35.8도까지 치솟은 지난 19일, 기자는 김정훈(42) 민주노총 서비스연맹 배달플랫폼노조 배민(배달의민족) 분과장의 배달에 동행했다. 김 분과장이 운전하는 오토바이에 같이 탑승해 배달노동자들이 느끼는 더위를 직접 체험했다.


이날은 올여름 처음으로 서울에 폭염주의보가 내린 날이기도 하다.


김 분과장은 "그나마 주행 중에는 바람이 불어 괜찮지만 정차할 때 차 사이에 갇히면 체감상 40∼50도가 된 듯 덥다"며 "자외선이 따가워 풀마스크로 얼굴을 가리고 헬멧까지 착용하니 더 더울 수밖에 없다"고 했다.


배달 오토바이 앞에 멈춰선 버스들배달 오토바이 앞에 멈춰선 버스들 : 연합뉴스

기상청이 올여름은 평년보다 더 덥고 더 많은 비가 내릴 것으로 예측한 가운데 마땅한 쉴 곳 없이 식당과 배달지를 오가야 하는 배달노동자들의 한숨이 깊어지고 있다.


대부분 배달노동자는 차량이 아닌 오토바이를 이용하기 때문에 불볕더위에 직접 노출될 수밖에 없다.


4년차 배달노동자 김상숙(47)씨는 "올여름은 더 덥다는 소식을 듣고 '헉' 소리가 절로 나왔다"며 "이른 아침이나 해가 진 오후에 배달하고 한낮엔 다른 아르바이트를 해야 하나 생각 중"이라고 말했다.


지난해 배달일을 시작했다는 최모(51)씨도 "작년 여름에도 더워 죽는 줄 알았는데 올해는 어떻게 해야 하나 걱정"이라며 "더운 날 헬멧을 쓰면 숨쉬기가 힘들다. 가끔 어지럽고 정신이 몽롱해져 위험하다는 게 느껴질 정도"라고 걱정을 토로했다.


서울시 등 지방자치단체는 배달노동자뿐 아니라 택배기사, 대리운전기사 등 이동노동자를 위한 쉼터를 만들거나 생수를 지원하기도 하지만 아직 역부족이라는 지적이 나온다.


서울 내 25개 자치구 중 이동노동자 쉼터가 있는 곳은 9개 구에 불과하며 이마저도 서대문구 홍제동 내 간이쉼터가 토요일에 문을 여는 것을 제외하면 모두 평일에만 운영돼 배달이 많은 주말엔 이용할 수 없다.


한국플랫폼 프리랜서 노동공제회가 공개한 전국 이동노동자 쉼터 현황에 따르면 올해 3월 말 기준으로 서울 내 이동노동자 쉼터는 간이쉼터를 포함해 총 11곳이다. 도봉구와 마포구 각 2곳, 강서구·서대문구·서초구·성동구·영등포구·은평구·중구 각 1곳이 전부다.


서울시는 올여름 폭염에 대비해 이동노동자를 위한 생수 무료 제공 사업도 시작했지만 '이동노동자 생수나눔사업'에서 공개한 얼음물 지도를 보면 강남구, 강동구, 금천구, 동대문구, 동작구, 양천구는 빠져있다.


서울 영등포구 노동자종합지원센터 내 이동노동자 쉼터서울 영등포구 노동자종합지원센터 내 이동노동자 쉼터 : 연합뉴스

지난해 이동노동자 쉼터 존재를 알게 된 뒤로 하루에 1번 이상 방문한다는 김씨는 "쉼터는 보약 같은 존재"라며 "토요일엔 날이 더운 오후 3시까지만이라도 문을 열어줬으면 좋겠다"고 했다.


최씨는 "쉼터가 없는 지역의 라이더(배달노동자)가 더워서 몇 분 쉬자고 옆 구의 쉼터까지 갈 수는 없는 노릇 아니냐"며 "최소한 구마다 쉼터가 하나 정도는 있어야 할 것 같다"는 바람을 전했다.


김 분과장은 "고용노동부는 폭염에 야외에서 일할 경우 1시간에 10∼15분은 쉬어야 한다고 권고하지만 우리 같은 배달노동자는 마땅히 쉴 곳이 없어 기본적인 건강권조차 제대로 보장받지 못하고 있다"며 "배달의민족이나 쿠팡이츠와 같은 플랫폼은 직고용이 아니라는 이유로 책임을 회피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0
기사수정

다른 곳에 퍼가실 때는 아래 고유 링크 주소를 출처로 사용해주세요.

http://jnnews.co.kr/news/view.php?idx=378513
기자프로필
프로필이미지
나도 한마디
※ 로그인 후 의견을 등록하시면, 자신의 의견을 관리하실 수 있습니다. 0/1000
확대이미지 영역
  •  기사 이미지 ㈜금양,‘2024 부산 모빌리티쇼’통해 국내 최초 4695 원통형 배터리 장착 완성차 4륜구동 시연
  •  기사 이미지 해풍 머금은 ‘섬섬여수옥수수’ 제철 맞아
  •  기사 이미지 강진 보랏빛 코끼리마늘꽃 세상 놀러오세요
한국언론사협회 메인 왼쪽 1
모바일 버전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