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메일전송
겨울 별미.무공해 식품 ‘완도 매생이’ 본격 채취 - 고금.약산 329어가에서 양식, 전국 생산량 70% 차지
  • 기사등록 2021-01-06 16:31:22
기사수정

[전남인터넷신문]완도군 고금면과 약산민 어민들은 요즘 매생이를 채취하느라 분주하다.

 

완도군 매생이 양식은 총 329에서 하고 있으며, 시설량은 총 10,466책이다.

 

완도 매생이는 전국 생산량의 70% 이상을 차지하고 있는데, 12월 말 기준 총 120톤이 생산됐다.

 

‘생생한 이끼를 바로 뜯는다.’라는 뜻의 순우리말인 매생이는 오염되지 않는 청정한 지역에서만 자란다.

 

특히 완도 매생이는 정화작용과 생리활성촉매 역할을 하는 맥반석으로 형성된 해역에서 자라 이물질 부착이 없고 깨끗하다.

 

무공해 식품인 매생이는 비타민 A와 C, 칼슘, 칼륨, 단백질 등이 풍부하고, 우유보다 40배나 많은 철분이 함유하고 있어 빈혈 개선에 좋다.

 

또한 식이섬유가 풍부해 체내 독소를 배출하고, 숙취 해소에도 도움이 된다.

 

겨울 별미인 매생이는 보통 굴을 넣어 덖어 먹거나 전으로 즐겨 먹는데 요즘은 건 매생이를 라면에 넣어 먹는 등 요리법이 다양하다.

 

‘덖음’은 물을 안 넣고 살살 볶아 익히는 것을 말하는데, 매생이 자체에 수분을 함유하고 있어 열을 가하면 적당한 국물이 나온다.

 

한편 고서 정약전의 <자산어보>에는 매생이를 ‘누에 실보다 가늘고 쇠털보다 촘촘하며 길이가 수척에 이른다.’, ‘빛깔은 검푸르며 국을 끓이면 연하고 부드러워 서로 엉키면 풀어지지 않는다.’, ‘맛은 매우 달고 향기롭다.’고 표현하고 있다.

 

해양수산부에서 올해 이달의 수산물로 매생이를 선정했다.

 

완도군 관계자는 “매생이는 찬바람이 불기 시작하는 12월부터 이듬해 2월까지 채취하는데, 건강에 좋고 한입만 먹어도 따뜻한 기운을 느낄 수 있는 매생이 요리로 겨울 밥상을 차려보는 것을 추천한다.”고 말했다.

0
기사수정

다른 곳에 퍼가실 때는 아래 고유 링크 주소를 출처로 사용해주세요.

http://jnnews.co.kr/news/view.php?idx=294141
기자프로필
프로필이미지
나도 한마디
※ 로그인 후 의견을 등록하시면, 자신의 의견을 관리하실 수 있습니다. 0/1000
확대이미지 영역
  •  기사 이미지 강진 보랏빛 코끼리마늘꽃 세상 놀러오세요
  •  기사 이미지 ‘2024 부산모빌리티쇼’ 부산국제모터쇼의 새로운 시작이 되다.
  •  기사 이미지 서구 오연호 오마이뉴스 대표 초청 아카데미
한국언론사협회 메인 왼쪽 1
모바일 버전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