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메일전송
도의회, 저탄소 녹색성장, 전남 농어업 발전방안 제시
  • 기사등록 2009-08-24 17:52:16
기사수정
전라남도의회 농어촌발전연구회(회장 이탁우 의원, 보성2)는 지난 8월 20일 도의원, 농어업인 단체, 관계 공무원 등 200여명이 참석한 가운데 『저탄소 녹색성장, 전 농어업발전 방안』 토론회를 개최하였다.

이날 농림수산식품부 이충원 녹색미래전략과장은 주제발표에서 “2020년까지 세계 7대, 2050년까지 세계 5대 녹색강국 진입을 목표로 바이오메스 에너지화, 친환경 농수축산 및 연관 산업 육성, 녹색 농어촌 만들기, 농촌활력 증진, 저탄소 국가식품 시스템 구축 등 향후 60년 국가비전, 저탄소 녹색성장을 이끌어갈 10대 전략과제를 제시“하고, ”전남은 전국에서 가장 먼저 녹색산업화를 추진한 만큼 전남이 갖고 있는 특색을 살린 녹색산업을 계획하고 수립하여 추진해야 할 것“ 이라고 밝혔다.

또한, 글로벌 경제하의 국가 식품시스템 구축방향을 발표한 한국농촌경제연구원 최지현 식품유통팀장은 “농식품의 생산, 소비, 안전, 영양, 안보, 환경 등 국가 식품정책의 주요 요소들을 망라한 식품관련 포괄적이고, 통합적인 시스템 구축이 필요”하고, 일반국민을 대상으로 한 건강식생활에 관한 홍보 및 교육뿐만아니라 저소득 취약계층의 결식노인과 어린이를 대상으로 한 영양지원 프로그램도 포함할 필요“가 있다고 했다.

이어서 전남대학교 박준근 교수의 사회로 토론이 진행 되었는데 첫 번째 토론자로 나선 순천대학교 김병무 교수는 전남의 친환경 농축산업이 발전하기 위해서는 “무농약 인증 친환경 농산물과 더불어 GAP 농산물, 서울 등 학교급식 확대에 대비한 공신력 있는 조직, 친환경 농산물 명품 대표 브랜드 등을 육성해야 하고, 친환경 농업을 농촌체험 및 관광과 연계해 부가가치를 높일 수 있도록 발전시켜야 한다”고 주장했으며, “해외 농업에도 관심을 가져야 한다”고 밝혔다.

두 번째 목포대학교 박양균 교수는 전남 저탄소 녹색식품산업 육성방안으로 “녹색의땅 전남은 풍부한 식품자원, 전통식품, 맛의 고향으로 인식되고 있으므로 저탄소 녹색성장과 국가 식품시스템 구축의 새로운 패러다임을 이해하고 전남 식품산업 육성을 위해서 새로운 개념을 적용해야 한다.”고 밝혔다.

세 번째 토론자로 나선 목포대학교 박찬선 교수는 친환경 수산업 확대 방안으로 “연안 생태계, 연안 수계, 연안 환경에 친환적인 수산업이 되어야만 최대 지속가능한 경쟁력 있는 고부가가치 산업으로 발전될 수 있을 것”이라고 주장했다.

네 번째로 전남 도립대학교 정규진 교수는 저탄소 녹색식품 수산가공산업 육성방안으로 “살아있는 바다, 급변하는 소비선호에 효과적으로 대응하기 위한 제품 차별화 및 고부가가치화, 수출 경쟁력 제고와 안정된 소비기반 확보를 위한 품질 및 안정성 제고를 위한 생산시스템 구축해야 한다.”고 주장 하였으며, “수산업이 발달하고 수산가공산업이 경쟁력을 갖추기 위해서는 무엇보다도 기술력이 우선되어야 한다.“고 밝혔다.

마지막 토론자로 나선 동신대학교 조진상 교수는 녹색농어촌 만들기 및 농촌 활력 증진 방안으로 독일 데겐하우저탈의 분뇨 및 농업 쓰레기를 활용한 바이오가스 프로젝트와 독일의 놀드라인 베스트팔렌주 오텐하우젠 생태마을 조성사업의 예를 들어 “에너지 자립형 녹색마을 시범사업” 도입을 제안했다.

※ 전라남도의회 농어촌발전연구회는?
전남 농․어촌 현장의 문제점을 진단하고, 새로운 발전방안을 마련하는 등 전남 농․어촌의 발전과, 농․어업인의 소득증대, 농․어민의 삶의 질 향상을 위해 2007년 4월부터 제8대 도의원 23명으로 활동하고 있는 단체임
0
기사수정

다른 곳에 퍼가실 때는 아래 고유 링크 주소를 출처로 사용해주세요.

http://jnnews.co.kr/news/view.php?idx=26821
기자프로필
프로필이미지
나도 한마디
※ 로그인 후 의견을 등록하시면, 자신의 의견을 관리하실 수 있습니다. 0/1000
확대이미지 영역
  •  기사 이미지 강진 보랏빛 코끼리마늘꽃 세상 놀러오세요
  •  기사 이미지 ‘2024 부산모빌리티쇼’ 부산국제모터쇼의 새로운 시작이 되다.
  •  기사 이미지 서구 오연호 오마이뉴스 대표 초청 아카데미
한국언론사협회 메인 왼쪽 1
모바일 버전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