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메일전송
광주시, 주민대피시설 관리 실태 전수 조사 - 스마트폰앱 ‘안전디딤돌’․국가재난정보센터서 우리동네 대피소 확인
  • 기사등록 2016-04-12 14:52:48
기사수정



[전남인터넷신문] 광주광역시는 세월호 사고 이후 지난해부터 실시하고 있는 ‘국가안전대진단’ 기간에 주민대피시설 관리 실태를 전수 조사해 정비할 계획이다.

 

국가안전대진단은 지난 2월15일부터 4월30일까지 75일 간 지자체, 공공기관, 민간 전문가 등이 참여해 실시하며, 이 기간에 주민대피시설 704곳의 관리와 운영 실태를 전수 조사해 실효성 없는 대피시설은 정비하고 비상 상황 발생 시 즉시 사용할 수 있도록 보강키로 했다.

 

주민대피시설은 전시·사변 또는 이에 준하는 비상사태, 통합방위상태나 국가적 재난으로부터 주민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해 설치 운영토록 돼 있다.

 

현재 광주지역에는 시민들이 동시에 대피할 수 있는 확보 기준보다 많은 704곳(220%)을 확보하고 있다.

 

이번 전수 조사에서 주민 대피의 안전성과 시설관리 효율성을 높이기 위해 확보 기준의 150~180% 수준인 600여 개로 정비키로 했다.

 

또한, 공공용 주민대피시설에 대한 국민안전처의 정비 방향에 맞춰 비상주민대피시설을 기존 방공호 개념에서 탈피해 재난대피시설이라는 개념으로 인식 전환을 유도하고, 기존 대피시설 인근에 대규모 신축 건물이 건축된 경우 신축 건물로 대체 지정하는 방향으로 추진한다.

 

공공용 주민대피시설은 거주지 주변 비상대피시설 입구에 표시된 표지판이나 스마트폰 앱인 ‘안전디딤돌’, 국가재난정보센터( www.safekorea.go.kr)에서 동네 대피시설을 확인할 수 있다.

 

강백룡 광주시 안전정책관은 “최근 북한의 핵 위험 압박 등 북한 미사일공격 등에 대비해 비상대피시설 위치를 주민들에게 홍보하고 있다”며 “비상시 이용하는 주민대피시설에 대해 수시 및 정기점검을 해 대피시설의 상시 가용상태를 유지하고 관리하는데 만전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0
기사수정

다른 곳에 퍼가실 때는 아래 고유 링크 주소를 출처로 사용해주세요.

http://jnnews.co.kr/news/view.php?idx=162178
기자프로필
프로필이미지
나도 한마디
※ 로그인 후 의견을 등록하시면, 자신의 의견을 관리하실 수 있습니다. 0/1000
확대이미지 영역
  •  기사 이미지 강진 보랏빛 코끼리마늘꽃 세상 놀러오세요
  •  기사 이미지 ‘2024 부산모빌리티쇼’ 부산국제모터쇼의 새로운 시작이 되다.
  •  기사 이미지 서구 오연호 오마이뉴스 대표 초청 아카데미
한국언론사협회 메인 왼쪽 1
모바일 버전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