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메일전송
전남도, 오리 추가수매.소비 촉진운동 등 총력 - 농민 현장 목소리.인터넷 민원 등에 발빠른 대응 나서
  • 기사등록 2008-07-09 06:51:00
기사수정
전라남도가 최근 고유가가 지속되고 미국산 쇠고기 수입이 재개되는 등 농어민들의 시름이 늘고 있는 가운데 현장의 여론을 직접 살피며 적극적인 대응책 마련에 부심하고 있다.

특히 지난 4월 AI확산으로 도내 닭.오리 사육농가가 많은 타격을 입은 가운데 여름철을 맞아 닭고기 판로가 상대적으로 안정적인 반면 오리 소비는 여전히 위축돼 있어 긴급하게 예비비를 편성해 추가수매를 실시하고 대대적인 오리 소비 촉진운동을 추진키로 하는 등 발 빠른 대응에 나섰다.

실제 지난달 30일께 전남도 홈페이지 ‘도지사에 바란다’ 코너에 한 익명의 민원인이 “전남 오리 사육농가가 전국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50%에 육박하는데 수매 할당량은 타 시도와 일정 비율로 배정돼 상대적으로 어려움이 많다”며 “특히 오리고기 소비량은 닭고기에 비해 10%정도밖에 되지 않는데도 사료값과 유류값은 계속 인상되고 있어 추가 수매가 절실하다”고 애로사항을 토로했다.

또 최근 열린 광주.전남농민연대의 ‘농민생존권 보장 촉구대회’에서도 농어촌 종합대책을 촉구한 바 있다.

이에따라 박준영 도지사는 8일 “추가수매 및 오리고기 소비를 촉진할 수 있는 방안을 적극 개발해 추진하라”고 해당 실과에 특별 지시했다.

지난 4월 고병원성 조류인플루엔자 발생으로 소비가 크게 위축되자 정부는 전국 오리 수매 계획량을 426만마리로 확정, 이중 전남에 배정된 물량은 211만여마리로 전체의 50%수준이나 정부 예산부족으로 현재 중단된 상태다.

이 때문에 전남도에서는 지난달 19일 오리 사육농가의 어려움을 덜어주기 위해 농식품부에 추가 수매를 건의한 바 있으며 관철될 때까지 지속적으로 건의해나갈 예정이다.

이와함께 전남도는 정부의 오리고기 수매가 9일 종료될 경우 전남지역에 약 50만마리가 추가 수매 요구량이 남을 것으로 판단됨에 따라 정부가 추가 수매를 받아들이지 않을 경우 긴급 예비비를 투입해서라도 자체 수매를 추진할 수 있도록 적극 검토키로 했다.

또 소비 촉진을 위해 도청 및 시군, 농협 등 유관기관 단체, 대형 업체의 구내식당 등에서 오리고기를 주1회 이상 급식하도록 하는 등 다각적인 소비촉진대책을 추진해나가기로 했다.
0
기사수정

다른 곳에 퍼가실 때는 아래 고유 링크 주소를 출처로 사용해주세요.

http://jnnews.co.kr/news/view.php?idx=9624
기자프로필
프로필이미지
나도 한마디
※ 로그인 후 의견을 등록하시면, 자신의 의견을 관리하실 수 있습니다. 0/1000
확대이미지 영역
  •  기사 이미지 강진 보랏빛 코끼리마늘꽃 세상 놀러오세요
  •  기사 이미지 ‘2024 부산모빌리티쇼’ 부산국제모터쇼의 새로운 시작이 되다.
  •  기사 이미지 서구 오연호 오마이뉴스 대표 초청 아카데미
한국언론사협회 메인 왼쪽 1
모바일 버전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