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메일전송
풍성하고 즐거운 추석을 보내려면 안전사고 예방철저
  • 기사등록 2010-09-14 17:33:40
기사수정
 
즐겁고 풍성하며 다가오는 추석을 앞두고 매년 이맘때면 각 가정마다 분주하게 행해지는 일이 벌초이며, 특히 추수를 끝내고 조상님께 감사의 마음을 전하는 추석차례를 지내기 전에 꼭 해야 할 일 중 하나인 벌초는 음력 8월 초하루를 전후해 시작하여 추석명절이 이어진다.

먼저 안전사고의 종류는 예초기 사용 사고, 벌떼 쏘임 사고, 뱀/독사 등에 물리는 교상사고다. 벌초를 할 때 가장 많이 사용되는 장비가 예초기(낫)이다. 예초기는 엔진이 달린 풀을 깎는 기계로 날카로운 날이 달려 있어 예초기 사고는 벌초 시 안전사고가 가장 많이 발생하는 사고다.

예초기를 사용하기 전에는 예초기날 안전덮개를 반드시 부착하고 각 부분의 볼트와 너트, 칼날의 부착상태를 확인 점검해야합니다. 그리고 안면보호구, 보호안경, 무릎보호대, 보호장갑, 안전화 등 보호장구를 착용하고 긴팔과 긴바지 작업복으로 신체를 보호해 주어야 한다. 예초기 사용 시 눈에 파편이 들어간 경우에는 비비지 말고 즉시 의사의 진찰을 받아야 하고, 예초기날에 손이나 다리를 다쳤을 때는 흐르는 물에 상처를 씻고 깨끗한 천으로 감싼 다음 병원을 찾아야 한다.

손가락 등이 절단되었을 때는 절단된 부위를 생리식염수나 물로 씻은 후 멸균거즈로 싸서 비닐봉투나 플라스틱 용기로 포장한 후 주위에 물을 채우고 얼음을 넣어 신속하게 병원으로 가야하며 119소방서에 신고 및 응급처치를 하여 병원으로 이송.의사의 진료를 받아야 한다. 다음은 벌떼에 주의해야 한다.

벌초시기와 함께 시기적으로 가장 왕성한 활동을 하는 벌들을 조심하여야 한다. 특히 잡목이나 잡풀이 우거진 산소 주변에 벌집이 만들어 지기 쉬운 곳인데, 벌초를 하다가 벌집을 건드리게 되면 자칫 엄청난 벌떼들의 공격을 받을 수가 있다.

특히 조심해야 할 부분은 말벌에 쏘이지 말아야 하는데 벌에 쏘인 독에 의한 의식불명, 천식발작, 호흡곤란, 복통 등이 발생하며 심하면 사망에 이를 수 있기 때문에 증상이 발견되는 즉시 병원에 이송해야 한다. 벌쏘임을 예방하기 위해선 벌을 유인하는 강한 향수나 화장품, 헤어스프레이 그리고 너무 밝은 색의 옷은 피해야 합니다. 만약에 있을 벌의 공격에 대비하여 긴팔의 옷과 안전화를 착용하는 것이 좋다.

벌집을 발견했을 때는 건드리지 말고 주변에서 벗어나야 하고 만약 벌집을 건드렸을 때는 당황하지 말고 팔을 젖거나 소리를 질러 벌들을 놀라게 하지 말고 몸을 낮추고 침착하게 행동한다. 벌에 쏘였을 때는 핀셋이나 손톱으로 벌침을 뽑으려고 하면 더욱 파고들기 때문에 납작한 신용카드 등으로 밀어서 빼는 것이 좋습니다. 또한 사혈침(따주기침)으로 따준 후 피가 나오도록 몇 번을 짜주는 것이 좋다.

벌에 쏘이게 되면 혈압이 급격히 떨어지기 때문에 몸을 눕히고 기도를 확보한 뒤 병원에 가야합니다. 다음에는 뱀.독사에 물리는 사고에 주의한다. 뱀 또한 시기적으로 가을이 일년 중 가장 많은 독을 품고 있을 때입니다.

벌에 비해 빈도는 약하지만 독사에 물리게 되면 자칫 돌이킬 수 없는 사고로 이어질 수가 있다. 벌초는 뱀이 살기 좋은 야산의 잡풀지역에서 이루어지기 때문에 뱀의 출몰에 대처하기가 힘이 든다. 목이 긴 등산화나 군용워커를 신고 앞이 보이지 않는 지역은 막대기 등을 이용하여 미리 헤쳐 보는 것도 뱀에 물리지 않는

좋은 방법이다. 혹 뱀에 물린 사람이 있을 경우에는 눕혀서 안정을 시킨 다음 움직이지 않게 해야 하며, 뱀에 물린 곳에서 심장 쪽으로 5~10㎝ 위쪽을 끈이나 고무줄, 손수건 등으로 묶어 독이 퍼지지 않게 해야 한다.

또한 사혈침(따주기침)으로 따준 후 부황으로 독을 흡입하고, 또 매실액기스를 복용해서 해독되는 경우도 있다. 뱀에 물린 부위는 어느 곳을 막론하고 환자의 심장보다 아래에 위치에 두어 독이 퍼지는 것을 막아야 할 것이며, 추석 명절 들떠있는 마음을 가지고 섣불리 벌초에 나섰다 큰 낭패를 당할 수 있다.

잡풀이 우거긴 야산과 들판에 위치한 산소에서 일어나는 일이라 예상치 못한 사고가 발생되면 엄청난 결과를 초래할 수 있다. 특히 위치파악이 힘든 야산에서는 사고가 발생하여도 대처가 늦어질 수 있기 때문에 사전에 방지하는 것이 최선의 방법이라 하겠다. 이외에 주의 당부는 먼저 가장 많이 사용한 예초기 날의 조임 상태를 확인하고, 산소 주변에 돌멩이나 나뭇가지 등을 제거하며, 말벌집이나 땅벌집이 있는가 확인도 필요하고,

또한 뱀 ․ 독사 등이 없는가 확인을 철저히 한다. 그리고 보호안경, 안전화, 보호장갑, 안전모 반드시 착용하고 예초기를 시동․ 시운전 등 철저히 해서 빈틈없고 안전한 벌초를 하여 즐겁고 풍성하며 행복한 추석을 보냈으면 한다.

그리고 요즈음 황금물결이 출렁이는 가을에는 쯔쯔가무시, 랩토스피라, 유행성출혈 등 가을 전염병에 걸리지 않도록 특히 들판이나 잔디․ 풀밭에서 진드기, 들쥐, 곤충, 벌레 등에 물리지 않도록 각별히 조심해야 하며, 야산에서 쓰레기소각이나 음식요리나 담배 피거나 어린이 불놀이 등을 절대 하지 않도록 대국적으로 주의 해 주하고, 우리 모두 안전불감증․ 안전사고에서 해방되었으면 한다. 각 가정과 차량에 소화기를 비치하여 우리 귀중한 생명과 재산도 보호해야할 것이다.
0
기사수정

다른 곳에 퍼가실 때는 아래 고유 링크 주소를 출처로 사용해주세요.

http://jnnews.co.kr/news/view.php?idx=42553
기자프로필
프로필이미지
나도 한마디
※ 로그인 후 의견을 등록하시면, 자신의 의견을 관리하실 수 있습니다. 0/1000
확대이미지 영역
  •  기사 이미지 보성군 차(茶)향 물씬 풍기는 초록빛 수채화 풍경
  •  기사 이미지 곡성 곡성세계장미축제 개장
  •  기사 이미지 김이강 서구청장, 부처님오신날 봉축법요식 참석
한국언론사협회 메인 왼쪽 1
모바일 버전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