발언하는 김동연 경기도지사 : 연합뉴스[전남인터넷신문]헌법재판소가 4일 윤석열 전 대통령에 대한 파면 결정을 내리면서 조기대선 국면이 시작된 가운데, 더불어민주당 내 비명(비이재명)계 대선 주자들도 본격적으로 행보를 고민할 것으로 보인다.
민주당의 유력한 대권 주자인 이재명 대표는 최근 공직선거법 혐의 2심 재판에서 무죄를 받으며 대권 도전의 최대 장애물로 여겨졌던 사법 리스크의 부담을 덜어내며 대세론을 굳힌 상황이다.
결국 이 대표의 독주체제가 불 보듯 뻔한 상황에서 비명계 주자들로서는 어떻게든 각자의 무기를 앞세워 빈틈을 파고들며 존재감을 키우려 할 것으로 보인다.
김동연 경기도지사는 기획재정부 장관 출신으로 경제 문제에 전문성을 갖췄다는 점을 내세우며 중도층의 지지를 호소할 것으로 보인다.
김 지사 측 관계자는 통화에서 "김 지사의 장점은 중도층에도 소구할 수 있으며 동시에 진보적 가치도 포용할 수 있다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친문(친문재인)계 적자로 꼽히는 김경수 전 경남지사도 경선 참여가 점쳐진다. 야권 내 주요계파 중 하나인 친문 진영의 지지를 등에 업으면 경선에서 기대 이상의 선전을 할 수 있다는 것이 김 전 지사 측 구상이다.
김 전 지사 관계자는 통화에서 "김 전 지사는 민주주의 수호 세력의 폭을 넓히는 데 적격인 인물"이라며 친문 진영을 아우를 수 있다는 점을 부각했다.
여기에 김부겸 전 국무총리도 풍부한 국정 경험 및 야권의 험지인 대구 정치인 출신이라는 점에서 '통합'의 이미지를 앞세워 반전을 노릴 것으로 보인다.
지난 전당대회에서 이 대표와 경쟁한 김두관 전 의원도 출마를 기정사실화한 모습이다.
박용진 전 의원의 경우에는 출마 여부를 결정하지 않은 채 추후 행보를 고심 중인이다. 출마 여부와 관계 없이 당내 '소신파'로 꼽히는 만큼 경선 국면에서 뚜렷한 목소리를 낼 것으로 예상된다.
대선 출마를 시사한 전재수 의원은 지난 총선 부산에서 유일하게 당선된 만큼 'PK(부산경남) 대표주자' 이미지를 앞세울 것으로 보이며, 김영록 전남지사는 '호남 인물론'을 띄울 것으로 예상된다.
일각에서는 임종석 전 대통령비서실장이나 이광재 전 강원도지사가 경선에 전격적으로 참여할 수 있다는 관측도 나오고 있다.
다만 이같은 비명계 주자들이 마주할 경선 레이스의 현실은 녹록지 않을 것이라는 분석이 제기된다.
민주당 지지층 가운데 이 대표가 압도적 지지를 얻고 있는 것이 현실인데다, 최근 이 대표의 사법리스크까지 사실상 해소되며 '운동장'이 더 기울어지면서 비명계 주자들의 심리적 부담도 상당할 것으로 보인다.
지금까지 출마 결심을 굳힌 것으로 알려진 비명계 인사들 중에서도 중도 포기를 하거나 불출마를 하는 인사들이 나올 수 있다.
자칫 '체급'을 키우기는커녕 미미한 지지율만 확인하는 데 그칠 경우 안 나가느니만 못한 상황이 될 수 있다는 게 이들의 고민 지점이다.
경선 출마를 고심 중인 비명계의 한 인사는 "이 대표의 독주는 단순한 예상이 아니라 현실"이라며 "이런 현실까지 고려해 민주당의 집권 가능성을 더 높이는 선택을 하려고 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민주당의 다른 관계자도 "이 대표의 공고한 지지를 생각하면 비명계의 출마는 계란으로 바위를 치는 격이 될 수 있다. 출마를 결심했다가도 막상 주저하는 인사들이 자연스럽게 생길 것으로 보인다"고 전망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