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남인터넷신문]지자체의 선거 이후 선출된 단체장이 자기 사람을 심기 위해 온갖 편법과 꼼수 동원으로 물의를 빚어도 이를 무시하고 임명을 강행하는 등 잡음이 끊이지 않고 있는 것은 어제오늘의 일이 아니다.
인터넷 검색창에서 ‘마음대로 인사’ ‘낙하산 인사’ ‘지자체 인사잡음’ ‘지자체 제멋대로 인사’ 등을 키워드로 검색해 보면 관련 기사가 수없이 많다. 견제 없는 절대권력 지자체장 중에는 인사권을 원칙도 없이 마음대로 휘둘러 지역민과 공무원들로부터 지탄을 받고 있는 사례가 많다.
잘못된 인사는 지탄에 그치지 않고 지역민들이 피해를 보는 경우가 많은데, 농업분야도 마찬가지이다. 일부 지자체에서는 농업기술센터 소장에 행정직을 임명하거나 농업용어도 모르는 행정직을 농업정책 과장에 임명하는 사례도 없지 않다.
농업직 인력 자원이 풍부한데도 임명권자가 무슨 뜻으로 행정직을 농업직으로 임명하는지는 모르겠으나 임명권자의 그 행위에 따라 피해는 고스란히 농민들이 보게 되는 경우가 많다.
농업기술센터소장을 역임했던 어느 행정직 공무원의 고백에 의하면 소장은 행정직이 할 자리가 아니라고 했다. 그 이유로 첫째는 농업 분야나 농업기술센터에 대해 모르기 때문에 소장의 적극적인 역할이 어려웠다는 것이었다.
둘째는 농업기술센터 소장 회의를 참석하면 농업직(농업 지도직 포함)으로 근무하다가 소장이 된 사람들은 소장들 간에 서로 잘 알기 때문에 정보를 교환하고, 시책 등에 재빨리 대응하는 반면에 행정직이 소장이 된 사람들은 정보 교환이 어렵고 정보 자체에 대한 개념도 제대로 파악되지 않아 대응이 쉽지 않았다고 했다.
셋째는 농업직의 경우 지자체뿐만 아니라 농업기술원, 농촌진흥청 등과 연계하면서 수 십 년간 인맥을 구축하고, 정보를 파악하고 있으므로 사업 유치가 쉬운데, 행정직이 소장이 되면 소장 자체가 인맥과 정보가 없어 선제적으로 대응을 하기 어려웠다고 했다.
농업기술센터 소장을 역임하고 퇴직했던 그분은 본인이야 새로운 경험을 했고, 센터 소장을 역임하는 영광을 누렸으나 농민들에게 미안했다고 고백했다. 농업직이 소장이 되었다면 사업 유치와 지역 및 농민들의 사정에 맞는 농업정책을 더 잘 펼쳤을 것인데, 본인이 소장 자리를 차지하게 되어 지역 농민들에게 피해가 간 것 같았다고 했다.
그러면서 지역 농업과 농민들을 생각하면 인력 자원에 따라 차이는 있으나 원칙적으로 농업직이 농업기술센터 소장이나 농업정책 과장을 수행하는 것이 좋겠다는 말을 남겼다. 이분의 말이 아니더라 상식적으로 농업 전문 용어도 모른 사람을 농업정책 과장이나 농업기술센터 소장에 임명하면 회의나 보고 때는 아랫사람들이 작성한 것을 그대로 발표하는 앵무새밖에 될 수 없고, 그 피해는 지역 농업과 농민들에게 돌아가게 된다.
그런데도 개선되지는 않는 것 같다. 올해 일부 지자체 농업직 인사에서도 행정직을 농업의 중요 부서로 인사 발령을 낸 곳들이 있다. 지자체장 마음대로 인사라고는 하지만 상식 밖이고, 농업과 농민을 만만하게 생각하고 있다는 증거이다. 이에 대해 지역 농민들 스스로가 선거 때 지역 농업 발전을 위해 현명하게 대처하기 바란다.
다른 곳에 퍼가실 때는 아래 고유 링크 주소를 출처로 사용해주세요.
http://jnnews.co.kr/news/view.php?idx=39499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