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메일전송
지진재난으로부터 ‘안전한 전남’ 조성하자 - 한반도는 지진 안전지대가 아니다.
  • 기사등록 2024-11-05 15:08:39
기사수정

[전남인터넷신문]2016년 경주지진(규모 5.8), 2017년 포항지진(규모 5.4)에 이어 올해 6월 부안지진(규모 4.8)이 발생하면서 지진에 대한 경각심이 커지는 가운데, 한반도는 지진 안전지대가 아니라는 인식 전환과 함께, 건축물 내진설계 조례 정비, 지진재난관리 역량진단 지표 도입 등 법·제도적 기반을 마련해 안전한 지역사회 구축을 도모해야 한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전남연구원(원장 김영선)은 5일 「JNI 이슈리포트」 ‘전남, 더 이상 지진 안전지대는 아니다’를 통해 전남의 지진 발생 현황을 살펴보고, 지역과 지역민이 함께 보다 안전한 전남을 만들어가기 위한 지진 대응역량 강화의 필요성을 강조했다.


리포트에 따르면, 비교적 지진 안전지대로 여겼던 호남에서 최근 전북 부안지진이 발생해 언론·학계와 사회 전반의 관심이 집중되었으며, 역사적으로도 「조선왕조실록」에 장흥 천관산 지진을 비롯해, 영광·장흥·함평 등지에 해일이 발생했다는 기록이 있어 전남지역의 지진 발생 가능성에 대비한 선제적 대응이 필요하다는 것이다.


기상청 지진 관측자료를 분석한 결과, 전국적으로 지진 발생 횟수가 매년 증가하는 추세로, 전남에서는 2000년 1월부터 2024년 6월까지 규모 2.0 이상의 지진이 총 180회 발생한 것으로 나타났다.


그간 전남지역 지진 발생 위치는 내륙(36회)보다 해양(144회)이 많았으며, 해양에서 발생한 대규모 지진은 지진해일을 유발할 수 있어, 지속적인 모니터링과 심층연구를 통해 전남 서부 도서·연안 지역의 해상풍력단지, 양식장·어장 등의 피해를 최소화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현재 전남은 「전라남도 지진피해 시설물 위험도 평가 지원 조례」, 「전라남도 지진재해 원인조사단 구성 및 운영 조례」 등 관련 법률을 활용해 지진 발생에 대비하고 있다. 이와 더불어 목포시 등 일부 지역에 제정된 「내진설계 건축물 표시 권장 조례」의 지정범위를 확대해, 건축물 내진율 향상에 지속적인 노력을 기울일 것을 제안했다.


또한, 법적 장치 마련과 시너지를 창출하기 위한 추진과제로는 지자체 차원의 통일된 지진재난관리 역량진단 지표를 개발·배포해 효과적인 재난 대응체계를 마련하고, 특히 농촌지역은 지진 발생 피해가 클 것으로 예상되는 만큼 노후 건축물 대상의 내진 보강 공사비용 지원, 고령자 편의를 고려한 피난처 확보 등을 추진할 것을 주문했다.


김현희 전남연구원  부연구위원은 “지진은 다른 자연재해와 달리 현재 과학기술로 예측할 수 없고, 피해지역이 넓은데다 화재 등 2차 피해가 발생하는 매우 위험한 재해”라며, “이번 부안지진의 원인으로 지목된 ‘함열단층’과 같이, 전남지역에 분포한 활성단층(전주·순창·광주·정읍단층)에 대한 적극적·심층적인 연구가 가장 중요하고 시급하다”고 제언했다.

0
기사수정

다른 곳에 퍼가실 때는 아래 고유 링크 주소를 출처로 사용해주세요.

http://jnnews.co.kr/news/view.php?idx=389909
기자프로필
프로필이미지
나도 한마디
※ 로그인 후 의견을 등록하시면, 자신의 의견을 관리하실 수 있습니다. 0/1000
확대이미지 영역
  •  기사 이미지 보성군 율포솔밭해수욕장, 해맞이객 2만 명 북적
  •  기사 이미지 눈 내리는 함평 엑스포공원 빛 축제 설경
  •  기사 이미지 서구 아카데미, 김제동 초청 '내말이 그말이에요'
한국언론사협회 메인 왼쪽 1
모바일 버전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