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메일전송
[기고]디지털 범죄와 AI악용:대응과 예방의 중요성 - 보성경찰서 경무과 순경 양성빈
  • 기사등록 2024-10-15 16:07:18
기사수정

AI 기술의 발전은 사회에 많은 편의를 제공하지만, 동시에 디지털 범죄의 위험을 크게 증가시키고 있다. 특히 딥페이크와 사이버 범죄는 빠르게 확산되고 있으며, 이에 대한 효과적인 대응이 요구되고 있다.

 

딥페이크 기술은 실제 인물의 얼굴이나 음성을 조작하여 가짜 영상을 만드는 방식으로 악용되고 있다. 이는 유명인의 명예를 훼손하거나, 음란물 제작 등의 범죄로 이어지며 심각한 사회적 문제를 일으키고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딥페이크 탐지 기술을 적극 도입하고, 피해자 보호를 위한 법적·제도적 지원이 필요하다.

 

AI를 이용한 사이버 공격은 점점 더 자동화되고 있으며, 개인정보 탈취나 금융 사기, 국가 인프라 공격 등으로 이어질 수 있다. 이러한 범죄에 대응하려면 사이버 보안 인프라를 강화하고, AI 기반 탐지 시스템을 구축하여 빠르게 위협을 차단하는 것이 중요하다.

 

또한, 디지털 범죄에 효과적으로 대응하기 위해서는 전문 인력을 양성하고, AI와 딥페이크 탐지 기술을 확보하는 것이 필수적이다. 또한, 대중에게 범죄예방 교육을 강화하여, 딥페이크나 AI 기반 범죄의 위험성을 경고하고 피해를 예방할 수 있는 방법을 제공해야 한다.

 

AI 기반 디지털 범죄는 전 사회적인 문제로, 모두가 함께 대응해야 한다. 기술적 대응과 함께 대중의 인식 제고를 통해 안전한 디지털 환경을 구축하는 노력이 필요한 시점이다.

0
기사수정

다른 곳에 퍼가실 때는 아래 고유 링크 주소를 출처로 사용해주세요.

http://jnnews.co.kr/news/view.php?idx=388066
기자프로필
프로필이미지
나도 한마디
※ 로그인 후 의견을 등록하시면, 자신의 의견을 관리하실 수 있습니다. 0/1000
확대이미지 영역
  •  기사 이미지 김산 무안군수, 민생회복지원금 지급 현장 점검
  •  기사 이미지 서구, 찾아가는 통합 건강캠프
  •  기사 이미지 무등산국립공원을 물들인 샛노란 봄빛
한국언론사협회 메인 왼쪽 1
모바일 버전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