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남인터넷신문]지난 10 년 동안 정신과 전문의의 지역 불균형이 심화되면서 비수도권 주민들은 정신 건강 의료 서비스에서 소외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
더불어민주당 전진숙 의원 ( 광주북구을 , 국회 보건복지위원회 · 여성가족위원회 ) 이 건강보험심사평가원으로부터 제출받은 자료를 비교 분석한 결과 , 지난 10 년 동안 정신건강의학과 전문의는 1,165 명 증가했지만 , 그중 67.3% 에 해당하는 784 명이 서울과 경기에 집중된 것으로 확인됐다 . 서울은 2014 년 682 명에서 2024 년 1,214 명으로 두 배 가까이 늘어난 반면 , 강원도는 98 명에서 87 명으로 오히려 감소했다 . 이러한 현상은 지역 간 정신 건강 의료 서비스의 불균형이 심화되고 있음을 보여준다 .
더욱 심각한 것은 경상북도 영덕군을 비롯한 전국 24 개 시군구에는 정신건강의학과 전문의가 한 명도 없다는 점이다 . 이 지역에 거주하는 77 만 1,370 명의 국민은 현재 살고 있는 동네에서 정신과 전문의의 진료를 받을 수 없다 . 특히 강원도 고성 , 경상남도 남해 , 전북특별자치도 무주 , 충청남도 계룡 등 19 개 시군구는 지난 10 년 내내 정신과 전문의가 없었던 것으로 드러났다 .
이에 대해 전진숙 의원은 “ 정신과 진료 수요가 수도권에 더 많으니 어쩔 수 없다는 주장은 잘못된 것 ” 이라고 지적했다 . 실제로 2022 년 기준 인구 연령표준화자살률 ( 인구 10 만 명당 자살자 수 ) 이 가장 높은 곳은 충남 (27.4 명 ), 강원 (24.8 명 ) 순이며 , 오히려 서울 (17.9 명 ) 과 경기 (19.8 명 ) 는 전국에서 연령표준화자살률이 가장 낮다 .
전진숙 의원은 “ 정신과 전문의가 수도권에 과도하게 집중되면서 , 지방은 사실상 정신 건강 사각지대로 방치되고 있다 ” 며 , “ 우울증 등 국민의 정신 건강 문제 해결 및 자살 예방을 위해 국가는 정신 건강 분야에 적극적으로 투자해야 한다 ” 고 강조했다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