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메일전송
올해 누적 온열질환자 3천명 육박 .전날 98명 발생 - 누적 추정 사망자 28명 .오후 12∼5시 야외활동 자제해야
  • 기사등록 2024-08-21 17:35:18
기사수정

기세 꺾이지 않는 불볕더위, 태풍 '종다리' 북상에 도심은 찜통 : 연합뉴스[전남인터넷신문]전국적으로 한낮 기온이 30도를 웃도는 무더위가 이어지면서 올해 누적 온열질환자가 3천명 가까이로 늘어났다.


21일 질병관리청 온열질환 응급실 감시체계에 따르면 지난 20일 하루 전국 507개 응급실에 들어온 온열질환자는 98명이다.


올해 감시체계가 가동된 5월 20일부터 전날까지 누적 환자는 2천994명이 됐다. 작년 같은 기간(2천532명)보다 462명 더 많다.


사망자도 2명 발생해 올해 온열질환 추정 사망자는 총 28명으로 늘었다.


전날 온열질환자는 경기에서 37명, 인천 14명, 서울 11명, 충남 10명, 충북·경북 각각 4명이 발생했다.


올해 누적 온열질환자의 77.7%는 남성이었다.


연령대별로는 50대와 60대가 각각 18.4%로 가장 많았고, 40대 14.3%, 30대 12.9%, 70대 12.1% 등의 순이었다. 65세 이상 고령 환자는 31.6%였다.


발생 장소별로 보면 실외 작업장에서 환자 31.1%가 발생했고, 논밭 14.7%, 길가 9.6% 등 실외에서 전체 환자의 78.4%가 발생했다.


온열질환은 야외활동 시 주로 발생하기 때문에 낮 12시∼오후 5시 등 가장 더운 시간대에는 야외작업이나 운동을 자제하고 시원한 곳에 머물러야 한다.


불가피하게 야외활동을 해야 할 때는 건강 상태를 살피며 활동 강도를 조절해야 한다.


헐렁하고 밝은색의 가벼운 옷을 입고, 외출 시 양산이나 챙 넓은 모자, 팔토시 등을 챙겨 햇볕을 차단하는 것도 도움이 된다.


온열질환자 중에서는 일사병으로도 불리는 '열탈진'(55.6%) 환자가 가장 많았고, 열사병(20.7%)과 열경련(14.3%) 환자도 다수 발생했다.


열탈진은 땀을 많이 흘려 수분과 염분이 적절히 공급되지 못하는 경우 발생한다. 피부가 창백해지며 무력감과 피로, 근육경련, 메스꺼움, 구토, 어지럼증 등의 증상이 나타난다. 체온이 40도 이상으로 오르지는 않는다.


열탈진 증세가 발생하면 시원한 장소에서 휴식을 취해야 하며, 이온 음료를 섭취하는 것이 도움이 될 수 있다. 증상이 1시간 이상 지속되거나 회복되지 않을 경우엔 의료기관에 내원해 진료받아야 한다.

0
기사수정

다른 곳에 퍼가실 때는 아래 고유 링크 주소를 출처로 사용해주세요.

http://jnnews.co.kr/news/view.php?idx=383526
기자프로필
프로필이미지
나도 한마디
※ 로그인 후 의견을 등록하시면, 자신의 의견을 관리하실 수 있습니다. 0/1000
확대이미지 영역
  •  기사 이미지 김산 무안군수, 민생회복지원금 지급 현장 점검
  •  기사 이미지 서구, 찾아가는 통합 건강캠프
  •  기사 이미지 무등산국립공원을 물들인 샛노란 봄빛
한국언론사협회 메인 왼쪽 1
모바일 버전 바로가기